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도시민의 농촌성 인지 유형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이민수 , 박덕병
    등록일
    2007.07.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요인분석 결과 도시민은 3개의 농촌성 차원을 가지고 있었다. 3개의 농촌성 차원은 ‘보존적 농촌성’, ‘부정적 농촌성’, ‘긍정적 농촌성’이다. 이 중에서 전체변량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농촌성 차원은 ‘보존적 농촌성’과 ‘부정적 농촌성’으로 전체변량의 22.9%와 21.1%를 각각 설명하였다. 이와 함께 평균점수에서도 보존적 농촌성 차원이 4.12로 다른 농촌성 차원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결과는 도시민은 보존적 농촌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3가지 차원의 농촌성에 대한 점수를 보면, 보존적 농촌성과...

  • 목차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요약문

    요인분석 결과 도시민은 3개의 농촌성 차원을 가지고 있었다. 3개의 농촌성 차원은 ‘보존적 농촌성’, ‘부정적 농촌성’, ‘긍정적 농촌성’이다. 이 중에서 전체변량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농촌성 차원은 ‘보존적 농촌성’과 ‘부정적 농촌성’으로 전체변량의 22.9%와 21.1%를 각각 설명하였다. 이와 함께 평균점수에서도 보존적 농촌성 차원이 4.12로 다른 농촌성 차원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결과는 도시민은 보존적 농촌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3가지 차원의 농촌성에 대한 점수를 보면, 보존적 농촌성과 긍정적 농촌성의 점수는 매우 높은데 비해 부정적 농촌성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도시민들은 농촌을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윌리츠, 빌러와 톰버스(Willits, Bealer, Carlson Flinn Willits Stein, 1960; Warren, 1978)에 의하면 농촌지역 외부의 도시자본 투자에 의한 농촌개발의 주요 이익은 대부분 값싼 농지를 구매하고, 지역주민에게는 거의 편익을 제공하지 않는 편의시설을 건축하는 외부투자가의 몫이었다. 또 도시자본의 농촌 지역자원 소유와 농촌지역 외부의 정책담당자들에 의한 일방적인 지역개발의사결정으로 인해 농촌지역사회는 의존도와 저발전이 심화되었다 (Howes Willits Willits Milbourne, 1997). 본 연구의 경우에도 농촌을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적극적 농촌성 지향형’은 소득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별장(second home), 은퇴지역, 휴양센터 건립 등은 지역 성장을 위한 유용한 농촌개발 전략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개발전략에서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 이런 유형의 개발로 인해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대부분의 이익은 값싼 농지를 구매하고, 저가의 지역 노동력을 사용하는 외부투자가의 몫이 될 가능성이 크다(Molotch, 1976). 또 도시 자본에 의한 지역자원의 소유와 외부투자에 대한 의존의 심화로 지역의 자율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도시민의 투자를 유도하는 정책 개발 시에는 ‘적극적 농촌성 지향형’ 도시민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도시자본에 지역의 자율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농촌성에 대한 연구(박대식 박덕병, 이민수, Willits & Luloff, 1995)는 주로 도시민의 농촌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보듯이 도시민은 농촌성 차원에 따라 다양하게 유형화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농촌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서 나아가 농촌성을 좀 더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erception of rurality has been important because the perceptions that urban people have of rurality were likely to influence both public and private policies directed to rural area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gment and profile the urban residents' perceptions of rurality so 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urban residents' rurality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tionwide telephone survey with 1,000 urban residents in seven large cities. Four distinct seg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urality; anti-rurality (19.9%), positive rurality (19.6%), passive rurality (36.1%), critical rurality (24.4%), and these were profiled with respect to socio-demographics.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민수 (Lee, Minsoo)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민수 (Lee, Minsoo)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9919 0 20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 다음글 마늘과 양파에 대한 가격전이의 비대칭성 검정
  • 이전글 사회적 배제론 관점에서의 농촌사회 양극화 분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