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새정부 농촌지역개발정책 및 지역행복생활권 실행계획 수립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송미령 , 성주인; 김광선; 심재헌; 권인혜
    등록일
    2013.12.30
  • 새정부는 지역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을 채택하였다. 지역행복생활권은 우리 연구원의 연구자가 대통령께 보고드릴 내용을 논의‧작성하는 TF활동을 통해 제안한 정책 개념이다. 지역행복생활권은 ‘전국 어디에서나 행복을 체감할 수 있도록 기초 인프라, 일자리·교육·문화·복지 서비스가 충족되는 주민의 일상생활 공간’을 말한다.

    이 연구는 지역행복생활권 정책과 조화되는 농촌지역개발정책의 방향을 점검하는 한편 지역행복생활권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과 쟁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보고서에 ...

  • 목차

    •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농촌지역개발정책의 변화와 전망
      제3장 새정부 농촌지역개발정책 실행 방향과 전략
      제4장 외국의 관련 사례와 시사점
      제5장 지역행복생활권 정책 추진의 쟁점과 과제

    요약문

    새정부는 지역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을 채택하였다. 지역행복생활권은 우리 연구원의 연구자가 대통령께 보고드릴 내용을 논의‧작성하는 TF활동을 통해 제안한 정책 개념이다. 지역행복생활권은 ‘전국 어디에서나 행복을 체감할 수 있도록 기초 인프라, 일자리·교육·문화·복지 서비스가 충족되는 주민의 일상생활 공간’을 말한다.

    이 연구는 지역행복생활권 정책과 조화되는 농촌지역개발정책의 방향을 점검하는 한편 지역행복생활권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과 쟁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보고서에 포함된 주요 내용은 그동안 추진되어 온 농촌지역개발정책의 여건 변화와 전망, 새정부 농촌지역개발정책의 실행 방향과 정책 과제,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의 실행 방안과 쟁점 등이다. 특히 지역행복생활권의 구성 기준과 계획의 내용, 계획 실현을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체계와 지방의 역할 등을 담고 있으며, 논의 및 실행 과정에서 쟁점이 될 만한 사항들을 점검하였다.

    In the political trend for new government’s regional development in 2013, materialization of ‘happy regional life zone’ is selected as a core strategy while regional development committee prepared a guideline so that it is needed to cope with the foregoing. The action plan for the happy regional life zone, which will be a core spatial policy of the new government, is needed on how to accomplish and what the to-be feature is.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check the trend of development policy for rural areas, and to draw detailed issues and tasks related to the happy regional life zon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the following. Firstly, changes in the surroundings and trend of past development policies for rural areas are reviewed so that the future outlook is projected. Next, the execution direction for development policies for rural areas is reviewed. The right direction for development policies for rural areas and major political tasks in the mid and long term are identified. Especially, development policies for rural areas based on settlement system is materially reviewed from the spatial perspective. Lastly, the action plan for the happy regional life zone is drawn to conclusion. This study includes the composition standards, detailed plan, support system on the pla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performance appraisal for local authorities to promote the happy regional life zone in more active and dominant manner.
    The happy regional life zone is defined as the ‘space of citizens’ daily life where fundamental infra, job, education, culture, welfare service are satisfied so that they feel happy anywhere in the country. It is to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citizens by improving the flow of service for each daily-life zone regardless of administrative district. The happy regional life zone can be established by respective region’s own discretion, but in a manner of bottom-up type daily-life zone (composed with 2 to 4 local governments geographically connected). The government will provide the taylor-made support for each life zone and evenly support among the zones while it will put its priority first on cooperation projects among the local authorities and citizen experience projects.
    The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life zone, which is established as a strategic plan focusing on mandatory projects for co-development of relevant life zones, includes vision for the life zone, goal and development strategy, business plan, and promotion system. The strategic plan includes necessary projects among 5 major fields including securing living infrastructure, jobs, education, welfare, and medical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related system.
    It is needed that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of inter-governmental bodies being centered by the regional development committee is to be established for materializing happy regional life zone plan. The regional development committee plays a role as a control tower providing guidelines, arbitrating conflicts related to life zones, and conducting post evaluation while the related governmental bodies needs to actively develop and improve projects needed for each life zone unit, and to support life zone projects first when selecting a new and contest project deliberated and approved by regional committee.


    Researchers: Mi-Ryung Song, Joo-In Seong, Kwang-Sun Kim, Jae-Hun, Sim and In-Hye Kwon
    Research Period: 2013. 8~2013. 12
    E-mail Address: mrsong@krei.re.kr

    저자에게 문의

    송미령 이미지

    저자소개
    송미령 (Song, Miryung)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휴직 등 기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9766 1 2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