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저자
    윤찬미 , 김태윤
    등록일
    2023.06.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식품소비 다양화는 영양결핍(소위, 숨겨진 배고픔)을 해소하는 유력한 방안 중 하나이며, 농업생산 다각화는 소비다양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2014년 캄보디아 사회경제조사의 약 6,000여개 농가 미시자료를 이용하여 농업생산의 다각화가 식품소비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식품소비 다양성은 식품소비점수(FCS, 0~112)로 측정하였으며, 농업생산 다각화는 심슨지수(SI, 0~1)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농업생산 다각화는 평균적으로 식품소비 다양성을 1.385 (0.13 표준편차) 정도 높이는 것으로 ...

  • 목차

    • 1. Introduction
      2. Conceptual Framework and Cambodia’s Agriculture and Nutrition
      3. Data and Procedure
      4. Results
      5. Conclusion

    요약문

    식품소비 다양화는 영양결핍(소위, 숨겨진 배고픔)을 해소하는 유력한 방안 중 하나이며, 농업생산 다각화는 소비다양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2014년 캄보디아 사회경제조사의 약 6,000여개 농가 미시자료를 이용하여 농업생산의 다각화가 식품소비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식품소비 다양성은 식품소비점수(FCS, 0~112)로 측정하였으며, 농업생산 다각화는 심슨지수(SI, 0~1)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농업생산 다각화는 평균적으로 식품소비 다양성을 1.385 (0.13 표준편차) 정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1-2ha 규모의 농가에서는 3.193(0.29 표준편차) 정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업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야지대의 주민들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생산다각화가 소비다양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식품지출액이 클수록,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을수록, 식품구매비율이 높을수록 식품소비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캄보디아의 농업과 영양부문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농촌시장에 대한 접근성 제고, 농촌지역에서 농가의 식품구매력 증대, 농업생산 작목의 다각화에 대한 정책적 지원으로 식품소비 다양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영양결핍을 감소시킬 것을 제안한다.

    Dietary diversity is often emphasized as the primary way to treat micro-nutrition deficiencies, called hidden hunger. Farm production diversification can positively affect the diversity of household diets. This study uses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Cambodia Socio-Economic Survey to find the impacts of farm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household dietary diversity. The Food Consumption Score is measured as an indicator of dietary diversity, and the Simpson Index is calculated as an indicator of production diversif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farm production diversification positively affects dietary diversity by about 1.385 (0.13 Standard Deviations) on average, especially for farmers who have cultivated 1-2 ha of land by 3.193 (0.29 SDs). Besides, production diversification in the plain zone, where the average income is higher than in other regions, significantly affects dietary diversity. In addition, total expenditur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etary diversity. Furthermore, market accessibility and the percentage of food purchased significantly impact a diverse diet by 8.34 (0.75 SDs) and 6.97 (0.63 SDs), respectively.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policies related to providing access to the market, enabling households to purchase food in rural areas, and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are meaningful in enhancing household dietary diversity in rural Cambodia.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윤찬미 (YUN, Chanmi)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윤찬미 (YUN, Chanmi)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846 1 84 0 0
    •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호중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석준호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임창식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용희원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영향 분석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영향 분석
      지정훈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민기채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지연구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김동훈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이전글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