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도시농업의 비전과 과제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연구보고 (R629)
    저자
    김태곤 , 박문호; 허주녕
    등록일
    2010.10.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도시민의 농업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여 도시민의 농업참여 실태를 파악하여 농업에 기대하는 바람직한 비전과 이를 실현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도시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는 농업은 다원적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즉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비롯하여, 체험이나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경관을 형성하면서 환경을 보전하고,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면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등의 역할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농업은 고지가, 농지 전용, 농지 임대...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도시농업의 개념과 다양한 유형
      제3장 도시지역의 농업정책 추진
      제4장 도시지역의 농업경영 실태
      제5장 텃밭농원의 운영실태와 소비자 의향
      제6장 다원적 기능에 대한 가치평가
      제7장 도시농업의 비전과 과제

    요약문

    도시민의 농업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여 도시민의 농업참여 실태를 파악하여 농업에 기대하는 바람직한 비전과 이를 실현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도시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는 농업은 다원적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즉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비롯하여, 체험이나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경관을 형성하면서 환경을 보전하고,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면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등의 역할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농업은 고지가, 농지 전용, 농지 임대차 등에 의한 경영불안을 안고 있다. 또한 환경 규제 등에 의해 생산비가 인상되거나 농업경영을 제약하는 것도 도시농업이 가지는 문제점이다.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텃밭농원에 대해서는 공급이 부족하고, 세면장이나 휴게시설, 주차장 등과 같은 시설이 미비한 점도 문제다.
    도시농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농지와 관련한 경영불안 요인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편의시설을 갖춘 텃밭농원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소비자와 생산자간의 교류와 직거래 등을 통한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거래하는 것이 기반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는 도시농업기본법을 제정하여 지원이나 규제에 관한 근거를 마련하고, 지자체는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지역실정에 신축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도시농업의 발전을 보장하여 도시와 농업이 상생하는 새로운 길이 될 수 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태곤 (Kim, Taego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6189 0 190 0 1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
      202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김영준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