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한국농수산대학 학과 신규개설 타당성 조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0-53)
    저자
    최경환 , 마상진; 김강호
    등록일
    2010.12.01
  • 1990년대 중반 WTO체제 출범으로 농수산물시장 개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장차 우리나라 농어업을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한국농업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올해 11번째 졸업생을 배출하여 2천여 명의 전문농업경영인이 전국에서 활약하고 있다.

    한·미, 한·EU FTA 체결 등 세계화는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농어업인의 고령화는 심화되고 있어 정예 농어업 전문인력의 양성이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더욱이 2008년 농림부가 농림수산식품부로 개편되어 농정 영역이 어업 및 식품산업까지 확대되면서 ...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한국농수산대학의 역사와 현황
      제3장 농수산계 교육기관 실태
      제4장 한국농수산대학 학과 신규개설 요구
      제5장 한국농수산대학 학과 신규개설 타당성 분석
      제6장 신규학과 개설 및 향후 대응방안

    요약문

    1990년대 중반 WTO체제 출범으로 농수산물시장 개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장차 우리나라 농어업을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한국농업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올해 11번째 졸업생을 배출하여 2천여 명의 전문농업경영인이 전국에서 활약하고 있다.

    한·미, 한·EU FTA 체결 등 세계화는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농어업인의 고령화는 심화되고 있어 정예 농어업 전문인력의 양성이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더욱이 2008년 농림부가 농림수산식품부로 개편되어 농정 영역이 어업 및 식품산업까지 확대되면서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농수산계 고교, 전문대 및 대학이 농어업 인력양성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농수산대학에 대한 기대와 요구는 점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요구되고 있는 임업, 어업, 말산업 및 양조전통식품 분야의 관련 학과 개설 타당성을 검토하고 학과 개설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앞으로 사회 각계로부터 전문인력 양성 요구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농수산대학이 금후 다양하게 제기될 신규 학과 개설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정예 농어업 전문인력을 차질없이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최경환 (Choi, Kyeonghwa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7000 0 0 0 0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
      202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김영준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