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현안분석

  •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과 상생협력모델 연구
  •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과 상생협력모델 연구

    저자
    정정길 , 유찬희;임채환
    등록일
    2018.12.30
  • 최근 들어 중국 IT기업들이 자사가 보유한 기술과 노하우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농업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는 소득증대에 따른 농촌주민의 구매력 증대, 농식품 소비시장 확대, 스마트 농업 발전, IT 산업의 내부 경쟁 심화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만으로는 삼농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IT기업과 같은 비농업부문과의 협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 중국의 농업계는 자본, 기술력, 혁신 역량을 갖춘 기업의 참여를 통한 농업․농촌분야 발전 동력의 확대...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중국 기업의 농업 참여 현황
      제3장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 현황
      제4장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 사례분석
      제5장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 관련 중국 정부의 지원정책
      제6장 정책적 시사점

    요약문

    최근 들어 중국 IT기업들이 자사가 보유한 기술과 노하우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농업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는 소득증대에 따른 농촌주민의 구매력 증대, 농식품 소비시장 확대, 스마트 농업 발전, IT 산업의 내부 경쟁 심화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만으로는 삼농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IT기업과 같은 비농업부문과의 협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 중국의 농업계는 자본, 기술력, 혁신 역량을 갖춘 기업의 참여를 통한 농업․농촌분야 발전 동력의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농업발전 과정에서 기업의 역할을 파악하고, 최근 중국 기업의 농업부문 참여 방식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알리바바(阿里巴巴), 왕이웨이양(網易味央), 징둥(京东) 등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접근하여 농업부문에 진출한 중국 IT기업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과 농업이 상생협력할 수 있는 모델을 발굴하고 국내 농업부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저자정보

    정정길 이미지

    저자소개
    정정길
    - 위촉전문연구원
    - 소속 : 휴직 등 기타

    저자에게 문의

    정정길 이미지

    저자소개
    정정길
    - 위촉전문연구원
    - 소속 : 휴직 등 기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6833 0 0 1 0
    •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민선형
      2023.05.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업 고용인력 최근 동향과 시사점

      농업 고용인력 최근 동향과 시사점
      마상진
      2023.04.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촌 주민의 난방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농촌 주민의 난방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심재헌
      2023.03.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최근 한우 가격 하락 원인과 전망

      최근 한우 가격 하락 원인과 전망
      이형우
      2022.12.0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한·중 수교 30년, 농식품 교역 동향과 협력 과제

      한·중 수교 30년, 농식품 교역 동향과 협력 과제
      김경필
      2022.11.2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2년 김장 의향 및 김장 배추·무 공급 전망

      2022년 김장 의향 및 김장 배추·무 공급 전망
      김원태
      2022.11.0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송미령
      2022.10.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김종인
      2022.09.3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주요 농자재 가격 동향과 시사점

      주요 농자재 가격 동향과 시사점
      서대석
      2022.09.1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배출권거래시장 기반의 농업부분 감축사업 현황과 시사점

      배출권거래시장 기반의 농업부분 감축사업 현황과 시사점
      정학균
      2022.09.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유찬희
      2020.08.2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정학균
      2020.07.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정정길
      2020.07.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식품 소비분야 영향분석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식품 소비분야 영향분석
      김상효
      2020.05.2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0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2020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국승용
      2020.11.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식·학교급식 분야의 농식품 소비변화 분석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식·학교급식 분야의 농식품 소비변화 분석
      김상효
      2020.06.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5G 시대, 농업‧농촌의 변화

      5G 시대, 농업‧농촌의 변화
      김용렬
      2019.08.0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가축분뇨 자원화 여건 변화와 대응과제

      가축분뇨 자원화 여건 변화와 대응과제
      김현중
      2020.11.2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타결과 농업부문 시사점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타결과 농업부문 시사점
      석준호
      2020.03.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와 농업부문 시사점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와 농업부문 시사점
      조성주
      2020.02.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