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가구 소비자 중 김장을 직접 담그는 비율은 증가하나 가구당 배추 구입량은 감소 전망
• KREI 소비자 패널의 김장 의향 조사결과, 금년 김장을 직접 담그는 비율은 65.1%로 전년(63.3%) 대비 증가
• 한편, 4인 가족 기준, 김장용 배추 구매 의향량은 21.8포기로 전년 대비 1.4% 감소, 무는 8.4개로 전년 대비 3.4% 감소
• 김장 의향 감소와 채소 가격 강세로 건고추 및 마늘의 가구당 구매 의향량은 전년 대비 각각 2.9%, 5.2% 감소
2022년 김장은 10월에...
2022년 가구 소비자 중 김장을 직접 담그는 비율은 증가하나 가구당 배추 구입량은 감소 전망
• KREI 소비자 패널의 김장 의향 조사결과, 금년 김장을 직접 담그는 비율은 65.1%로 전년(63.3%) 대비 증가
• 한편, 4인 가족 기준, 김장용 배추 구매 의향량은 21.8포기로 전년 대비 1.4% 감소, 무는 8.4개로 전년 대비 3.4% 감소
• 김장 의향 감소와 채소 가격 강세로 건고추 및 마늘의 가구당 구매 의향량은 전년 대비 각각 2.9%, 5.2% 감소
2022년 김장은 10월에 일부 시작, 11월 중순∼12월 상순 김장 비율이 74.6%로 집중. 금년 김장 다소 지연 전망
• 11월 상순까지 김장 비율 17.2%로 전년(20.6%) 대비 낮고, 이후 12월 상순까지의 비율은 전년(72.9%) 대비 높은 74.6%
• 김장 비용이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김장하겠다는 소비자 의향 높아 김장 시기 전년 대비 지연 전망
2022년 김장배추 구매 형태별 비율은 절임배추(55.9%)가 절반 이상
• 절임배추 구매 비율 55.9%, 신선배추 40.4%, 신선배추와 절임배추 같이 구매하는 비율 3.8%
• 2019년 이후 신선배추는 구매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 절임배추는 증가 추세, 동시 구매 소비자도 절임배추 비율은 증가
2022년 김장철(11~12월)에 출하되는 가을배추·무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 전망
• 2022년 가을배추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4% 증가, 평년 수준인 126만 7천 톤, 가을무는 전년 수준, 평년 대비 1.8% 감소한 38만 5천 톤 전망
•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전년 가을배추 출하기 가격 및 금년 여름배추 가격이 높아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0%, 1.3% 증가, 단수는 무름병 등 병해 발생으로 작황이 부진하였던 전년 대비 8.2% 증가
• 가을무 재배면적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9%, 2.1% 증가, 단수는 뿌리혹병 등 병해 발생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
※ 참고: 관계부처합동 2022년 김장재료 수급안정 대책 발표(10.28) 요약 안내(12p 참조)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2540 | 1 | 359 | 2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