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현안분석

제4유형
  • 주요 농자재 가격 동향과 시사점
  • 
						    주요 농자재 가격 동향과 시사점

    저자
    서대석 , 서동주; 김부영
    등록일
    2022.09.19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20년 중반 이후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급상승은 글로벌 요인이 주원인으로 국제 정세 완화 이후에도 당분간 원유 및 원자재 가격의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
    • 국제 유가, 곡물 가격에 환율까지 상승함에 따라 국내 농산업을 비롯한 제조업 원가 부담 가중
    •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글로벌 요인과 국제 정세에 따른 요인이 주원인으로 국제 정세 완화 이후에도 당분간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

    무기질 비료 전체 소비량은 감소하나,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정체, 원자재 가격은 수출 제한 조치 등으로 당분간 강...

  • 목차

    • 1.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변동과 요인 분석
      2. 주요 농자재 수급 및 가격 동향
      3. 영농형태별 농업경영비 및 농업소득 영향 분석
      4.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20년 중반 이후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급상승은 글로벌 요인이 주원인으로 국제 정세 완화 이후에도 당분간 원유 및 원자재 가격의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
    • 국제 유가, 곡물 가격에 환율까지 상승함에 따라 국내 농산업을 비롯한 제조업 원가 부담 가중
    •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글로벌 요인과 국제 정세에 따른 요인이 주원인으로 국제 정세 완화 이후에도 당분간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

    무기질 비료 전체 소비량은 감소하나,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정체, 원자재 가격은 수출 제한 조치 등으로 당분간 강세
    • 무기질 비료 소비량은 연평균 2% 감소, 사용량은 27.5kg/10a 내외 수준
    • 무기질 비료 수요는 매우 비탄력적으로 국내 수급 안정이 필요하며, 비료 원자재 수출국의 수출 제한 조치와 국제 곡물과 원자재 가격 강세 전망에 따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무기질 비료 원자재의 가격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선제적 대응 노력이 필요

    농약 사용량은 감소 추세, 살충제와 독일산 원제 수입단가는 상승 추세
    • 농약 생산·출하량은 2000년대 초 이후 감소세, 최근 기상 변화와 병충해에 따라 사용량 등락이 있으나 사용량은 정체 수준
    • 비교적 안정적이던 농약 가격이 ’22년 1월 이후 상승세, 살충제와 독일산 원제 수입단가는 크게 상승 추세

    비료와 농약 가격 상승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유인은 미미하여 주요 경종작물 소득은 다소 감소할 전망
    • ’22년 상반기 재료비의 구입가격지수는 작년 대비 27.6% 상승, 경영비는 8% 상승하나, 농산물 가격에 반영은 미미할 전망
    • ’23년 이후 비료와 농약 가격이 지속 상승할 경우, 주요 경종작물 소득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글로벌 요인에 따른 국제 원자재와 환율 강세 지속 시 주요 농자재의 원자재 안정적 공급 지원과 수요 관리 방안 마련 필요
    • 국제 비료 원자재 및 곡물 수급과 수출국의 수출 제한 조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
    • 원자재 수급 안정을 위한 ‘무기질 비료 원료 구입 자금 지원’ 사업, 요소에 대한 할당관세와 일시적으로 농가 인상분 지원사업 등 정부지원 사업을 지속할 필요
    • 효율적 비료 사용 및 적정량 시비 등 수요 관리 방안 마련 필요

    저자에게 문의

    서대석 이미지

    저자소개
    서대석
    - 연구위원
    - 소속 : 신산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097 4 1074 3 6
    •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민선형
      2023.05.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업 고용인력 최근 동향과 시사점

      농업 고용인력 최근 동향과 시사점
      마상진
      2023.04.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촌 주민의 난방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농촌 주민의 난방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심재헌
      2023.03.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최근 한우 가격 하락 원인과 전망

      최근 한우 가격 하락 원인과 전망
      이형우
      2022.12.0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한·중 수교 30년, 농식품 교역 동향과 협력 과제

      한·중 수교 30년, 농식품 교역 동향과 협력 과제
      김경필
      2022.11.2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2년 김장 의향 및 김장 배추·무 공급 전망

      2022년 김장 의향 및 김장 배추·무 공급 전망
      김원태
      2022.11.0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송미령
      2022.10.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김종인
      2022.09.3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배출권거래시장 기반의 농업부분 감축사업 현황과 시사점

      배출권거래시장 기반의 농업부분 감축사업 현황과 시사점
      정학균
      2022.09.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국제곡물 가격 변동 요인과 전망

      국제곡물 가격 변동 요인과 전망
      김지연
      2022.07.2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유찬희
      2020.08.2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정학균
      2020.07.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정정길
      2020.07.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식품 소비분야 영향분석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식품 소비분야 영향분석
      김상효
      2020.05.2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0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2020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국승용
      2020.11.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식·학교급식 분야의 농식품 소비변화 분석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식·학교급식 분야의 농식품 소비변화 분석
      김상효
      2020.06.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5G 시대, 농업‧농촌의 변화

      5G 시대, 농업‧농촌의 변화
      김용렬
      2019.08.0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가축분뇨 자원화 여건 변화와 대응과제

      가축분뇨 자원화 여건 변화와 대응과제
      김현중
      2020.11.2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타결과 농업부문 시사점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타결과 농업부문 시사점
      석준호
      2020.03.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와 농업부문 시사점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와 농업부문 시사점
      조성주
      2020.02.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 이전글 배출권거래시장 기반의 농업부분 감축사업 현황과 시사점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