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농정소식

제4유형
농정소식 상세보기 - 제목, 내용, 첨부, 작성자, 게시일 정보 제공
7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3개월 연속 상승
1103

○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7.7월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5.2포인트) 대비 2.3% 상승한 179.1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식량가격 지수는 ‘17.5월에 반등한 이후 3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15.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7.3월)171.6→(4월)168.9→(5월)172.7→(6월)175.2→(7월)179.1
- 이는 공급제약으로 인해 곡물, 유제품, 설탕의 가격은 상승한 반면, 유지류는 소폭 하락하고 육류가 안정세를 유지한 것에 기인하였다.

○ 상승 품목군
(곡물) ’17.6월(154.3포인트)보다 5.1% 상승한 162.2포인트 기록
곡물 가격은 밀과 쌀 가격 상승으로 3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밀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는데, 이는 북미에서 고온 건조한 기후가 계속되어 봄밀 작황이 악화되고 고단백 밀 등 밀의 품질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쌀 가격은 계절적으로 공급량이 제약되면서 상승하였으나, 수요 둔화로 인해 상승폭은 제한적이었다. 옥수수 가격은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중국의 옥수수 구매가 급증하였으나, 미국의 기상조건이 크게 개선된 것에 따른 것이다.

(유제품) ’17.6월(209.0포인트)보다 3.6% 상승한 216.6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52.2% 높은 수준이나, ‘14.2월 최고치(275.4포인트)보다는 여전히 21% 낮은 수준
버터, 치즈, 전지분유 가격은 상승한 반면, 탈지분유 가격은 하락하였다. 버터 가격은 수출가용량 감소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였으며, 다른 유제품과 가격 차가 더욱 확대되었다.
치즈와 전지분유 가격은 아시아 국가의 수입 증가로 상승한 반면, 탈지분유 가격은 수요 감소와 EU의 재고방출 증가 전망으로 하락하였다.
 
(설탕) ’17.6월(197.3포인트)보다 5.2% 상승한 207.5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상승하였다. 세계 최대 생산국인 브라질의 양호한 날씨와 태국, 인도의 생육 상황 등 긍정적 공급 여건에도 불구하고 브라질의 레알(real)화가 강세를 보이며 설탕 가격의 반등을 이끌었다.

○ 하락 품목군
(유지류) ’17.6월(162.1포인트)보다 1.1% 하락한 160.4포인트 기록
식물성 유지류 가격하락은 주로 팜유 가격하락에 기인하였다. 팜유 가격은 낮은 재고수준에도 불구하고, 동남아시아의 양호한 생산 전망과 국제 수입수요 약화로 인해 하락하였다.
반면, 대두유 가격은 상승하였는데, 미국의 일부 생산지역에서 건조한 날씨로 인해 생육조건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유채씨유와 해바라기유의 가격도 상승하면서 식물성 유지류 가격이 추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육류) ’17.6월(175.2포인트)과 비슷한 175.1포인트 기록
양고기 가격은 상승하였으나, 쇠고기, 돼지고기, 가금육 가격이 하락하면서 이를 상쇄하였기 때문이다.
쇠고기는 미국 내 공급 증가에 따른 수입수요의 감소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돼지고기 및 가금육 가격은 풍부한 공급량으로 인해 하락하였으나, 수요 강세로 인해 하락폭은 제한되었다. 양고기 가격은 오세아니아의 수출감소로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 금번 세계 식량가격지수 발표 시에는 곡물생산량, 소비량 및 기말재고량 전망치에 대한 발표는 없었음 
 

*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http://www.mafra.go.kr)

첨부
작성자 농림축산식품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