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지구온난화로 농지 가격 하락해 농가 소득 손실 우려
3914
원문

 

 지구온난화로 농지 가격 하락해 농가 소득 손실 우려

'기후변화가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통해 밝혀 

  

 

□ 지구온난화로 세계 및 우리나라 기온의 지속적 상승 전망

 

○ 세계 평균기온은 1980~1999년에 비해 21세기 말(2090~2099)에는  1.1~6.4℃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2007).

 

○ 우리나라 평균기온은 1971~2000년에 비해 2020년 1.5℃, 2050년 3℃, 2080년 5℃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국립기상연구소, 2006).

 

□ 기후변화로 농업기후자원과 작물재배 환경 크게 변화

 

○ 작물온도(일평균 기온이 10℃ 이상 일수)는 전국 평균 214일로 과거 19년간(1988~2006) 4일, 수원·청주·대전 등 중부지역은 10일정도 길어졌으나, 제천·금산·임실 등 태백준고랭지 및 소백산간지에서는 오히려 2~4일 정도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 농업기후지대별 평균기온은 지난 35년간(1973∼2007) 0.95℃ 상승하였다. 중북부내륙지대(춘천·양평 등)는 1.36∼1.47℃ 상승한 반면, 영남내륙산간지대(영주·문경 등)는 0.2℃ 상승하였다. 한편 강수량은 동기간 중에 평균 283㎜ 증가하였고, 태백고냉지대와 영남내륙산간지대는 452∼778㎜ 증가한 반면, 영남내륙지대(밀양·진주 등) 132㎜로 증가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기온상승으로 새로운 병해충 발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여치와 주홍날개꽃매미에 의한 사과·복숭아·포도 등의 피해지역이 확산되고, 벼의 경우 줄무늬잎마름병은 1935년 진주·밀양·구례에서 최초 발생 후 북상하여 2001년 경기 7개 시·군, 2007년 경기·충남·전남북·경남 등으로 확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구온난화로 사과 주산지는 경북에서 충북·강원으로, 겨울배추는 제주에서 해남으로, 겨울감자는 전북 김제까지, 복숭아는 춘천까지, 한라봉은 고흥과 거제까지 북상하였다.

 

□ 기후변화에 대한 농업인들의 높은 인지도와 우려 시각

 

○ 농업인들의 76.9% 정도가 지구온난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고, 기후변화 체감 시기는 '5년 전'이 36.3%로 높게 나타났고, 온난화로 생활에 큰 변화가 있을 것 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77.2%로 기후변화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구온난화가 농업생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73.9%, 온난화를 중요하게 보는 응답이 61.7%로 나타났다. 농업인들은 대체로 온난화의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여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지구온난화는 농업부문에 중장기적으로 상당한 경제적 손실 발생

 

○ 1975~2006년까지 쌀 생산성에 미치는 비모수분석 결과 기온이 19℃까지는 1℃ 상승 시 10a당 평균 24.4kg 증가하나, 20℃ 이상인 경우 오히려 6.2kg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기후-작물생육(CERES-Rice) 모형을 이용한 쌀 생산량 예측결과 평년(1971~2000년)보다 기온이 2℃ 상승 시 10a당 수량은 4.5% 감소, 도별로는 전남·전북이 5.9~6.9%, 충남·충북은 2.4~2.7% 감소하여 북쪽으로 갈수록 감소폭이 적은 것으로 예측되었고, 5℃상승시 평년대비 14.9%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기후변화로 연평균 기온(12.4℃)이 1℃ 상승하면 ha당 농지가격은 약 1,455∼1,924만원 하락(80개 시·군 농지가격 평균치의 5.7∼7.5%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편 기후변화로 월평균(110.8㎜) 강수량이 1㎜ 증가할 경우 ha당 농지가격은 약 33∼36만원 상승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는 경우 농업부문에 상당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김창길 연구위원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농업부문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지역별·작물별 재배적지 재편,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내재해성·고온적응성·지역적응성 품종개발, 병해충 예방기술, 농작물재해보험 확대 등의 정책적 조치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농업은 기후의존적인 산업이므로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단계별·분야별 추진내용과 관련주체별 역할분담 등을 담은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마스터플랜'이 수립이 긴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보고서: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 기후변화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

 

                                                                                                      

                                                                                                        ○ 제공일 : 2009년  4월  8일

                                                                                                        ○ 제공자 : 김창길 연구위원

                                                                                                        ○ 전   화 : 02 - 3299 - 4265

                                                                                                        ○ 홈페이지 : www.krei.re.kr

 

작성자 홍보출판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