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창조경제, 농산업 혁신의 발판돼야
4599
기고자 김정호
농민신문 전문가의 눈 | 2013년 3월 27일
김 정 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요즘 창조경제가 화두다. 새정부가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를 첫번째 국정목표로 제시하면서, 관련기관이나 산업계는 개념을 이해하고 추진 전략을 세우느라 분주하다.

 

 창조경제에 대해 국제연합무역개발회의(UNCTAD)는 ‘창의성을 성장동력으로 활용해 새로운 지식·기술·혁신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로 정의한다. 벤처기업 출신의 이민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창조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과 산업의 융합을 강조한다.

 

 이런 맥락에서 농업은 종합과학산업으로서 창조경제의 도입이나 응용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이른바 INBEC(정보·나노·바이오·환경·에너지·문화) 기술이 우리 농업에 혁신을 가져온 경과를 정리하면, 일찍이 1970년대에 BT(바이오기술)를 기반으로 녹색혁명을 이뤘다. 1990년대 들어서는 ET(환경기술)를 접목한 친환경농업으로 전환했다. 최근에는 IT(정보기술)와 NT(나노기술) 융합의 스마트농업이나 CT(문화기술)와 연계한 문화관광농업이라는 말도 어색하지 않게 됐다.

 

 2000년대 초반 벤처 붐에 이어 지난 정부 때는 ‘벤처농업’이 유행처럼 번졌다. 필자도 우리 농업을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산업으로 변모시켜 보자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귀농창업 상담을 받을 때는 왠지 농업이 모험사업처럼 여겨지는 것 같아 두렵기도 했다.

 

 그렇다면 현 단계에서 농산업과 창조경제를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

 

 결론부터 얘기하면, 단기적인 틈새시장 개척이 아니라 체질 강한 농산업 육성에 중점을 둘 것을 제안한다. 농산업 분야의 성장동력이 지속적으로 발굴돼 사업화될 수 있도록 창의를 존중하는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 창조경제를 위한 농산업 분야의 정책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업 분야의 창의적인 인재와 농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농업계 학교에서 전통적인 농업기술을 바탕으로 과학과 문화·예술이 융합되는 창조형 인재가 육성될 수 있도록 유인책을 강화하고, 산학연 체제도 재정비해 농기업·대학·연구기관의 단순 연계가 아닌 일체형의 혁신클러스터로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첨단과학기술과 농산업이 연계되는 R&BD(연구와 비즈니스 개발)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 농산업 분야의 연구비 예산을 향후 5년간 매년 5% 이상씩 확충하고, R&D(연구·개발) 개념을 확장해 기술과 시장이 융합되면서 고객가치 혁신을 주도하는 R&BD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현장 수요자 중심으로 연구과제를 발굴하고, 기술이전 및 실용화를 촉진해야 한다.

 

 셋째, 세계 시장을 지향하는 농식품 브랜드 육성 및 국제적 표준화가 필요하다. 세계적인 브랜드 상품이 만들어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지만, 10년 앞을 내다보면서 창조형 산업을 선정해 단계적으로 착실하게 육성해야 한다. 2020년 수출 2억달러를 목표로 종자강국 실현을 위해 추진하는 골든시드프로젝트가 좋은 예다. 또한 상품의 품질은 물론 포장 디자인이나 마케팅까지 선진국 수준에 걸맞게 표준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 농업이 선진화되는 과정에서 창조경제가 큰 힘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과 식품산업이 접목된 농식품산업이 상상력과 창의성, 그리고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경제운용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범국가적인 창조경제를 통해 한국농업이 제2의 도약을 실현할 수 있도록 농업계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