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제4유형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온실가스 감축 효과 제고를 위한 과제
811
기고자 홍연아

농민신문 기고 | 2023년 6월 14일
홍 연 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유통혁신연구실장)


식품소비 단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적 영향은 국민의 식품소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국민의 식단은 육류 섭취 비중 증가 등으로 점차 탄소발자국이 높은 식단으로 변화했으며, 이에 따라 식품소비에 따른 환경적 영향이 커지고 있다.


국내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1억1210만t(CO2eq·이산화탄소환산량)으로 우리나라 총배출량의 약 16%에 해당하며, 이중 식품소비 단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음식료품 제조업과 음식점업 그리고 식품유통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8340만t(CO2eq)으로,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식품시스템 전체 배출량 9120만t(CO2eq)의 약 9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동안 정부는 국내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외부사업 등과 같은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주로 농업생산 부문에 집중돼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식품시스템 부문별 실제 온실가스 배출 기여도를 반영한 목표 재설정이 필요하며, 식품 가공과 소비 부문의 에너지 사용과 관련된 감축전략 마련이 필수적이다.


식품소비 단계의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 실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감축 역량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또한 식품소비 단계의 부문별 온실가스 발생 실태와 각 주체별 행동 요인 분석, 감축 대안의 경제적 효과 및 수용성 분석 등을 기반으로 실효성 있는 실천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식품소비 단계 온실가스 감축 실천전략으로는 저탄소식품 개발 및 보급, 소비자 교육 및 저탄소 메뉴 보급, 저탄소 인증 및 표시 활성화, 식품 폐기 감축, 저탄소형 유통시스템 개선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실가스 감축 대안 실천을 위해서는 공공 주체의 역할도 중요하다. 정부는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식품 부문을 포함한 감축 로드맵 및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사전 실험 및 평가 연구 등 객관적 근거에 기반해 식품의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탄소배출량을 표시·전달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소비자에게 직간접적, 다방면으로 기후 환경 친화적인 식품 관련 정보와 중요성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