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해외농업·농정포커스 

제4유형
  • 미국 농업부(USDA)의 2002년 농업전망 개요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이병훈
    등록일
    2002.04.22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미국 농업부(USDA)가
      주관하는 '농업전망 2002' 대회가 지난 2월 21일, 22일 양일간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톤시에서 개최되었다. 농업인, 농업관련협회,
      수출입·가공업체, 식품 및 농업관련업체, 학계, 연구기관, 농업부 산하기관, 세계 각국 농업관련 단체 등 약 2,000 여명이 참가하였으며,
      금년도 부문별 주제로 곡물, 유지작물, 면화, 축산 등에 관한 향후 전망이 논의되었다. 미국의 '농업전망 2002'의 개요를 소개한다.
      1. 주요 부문별 장단기 전망
      1.1. 재배업(Crops)
      2002년에는 세계경제의
      저속성장과 미달러화의 강세로 향후 1∼2년간 농업부문은 위축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세계경제 호전과 함께 미국 농산물의 소비, 무역, 수출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쌀, 수수, 귀리,
      보리, 대두, 옥수수, 밀, 면화 등 주요 8대 작물 재배면적은 2011년에 약 2억 5,700만 에이커까지 확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이들 농산물의 소비는 대부분 내수 중심이었으나, 향후 쌀을 비롯한 밀, 수수 등 수출농산물의 경우 수출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대두, 맥류, 귀리의 소비증가율은 내수가 수출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표 1 주요 작물 재배면적
      전망(단위: 백만에이커)
      품 목
      2000
      2001
      2002
      2005
      2008
      2010
      2011

      3.1
      3.3
      3.3
      3.3
      3.2
      3.2
      3.2

      62.6
      59.6
      61.0
      61.5
      63.0
      64.0
      64.0


      74.3
      75.2
      75.5
      73.8
      75.5
      76.0
      76.3
      옥수수
      79.5
      76.0
      77.5
      79.0
      79.5
      80.0
      80.0


      15.3
      16.0
      15.1
      14.6
      14.1
      13.9
      13.8
      1.1.1.
      쌀(Rice)
      미국의 쌀 재배면적은
      320-330만 에이커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나 매년 단수 증가세가 이어져 향후 쌀 생산은 증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소비는 미국인구의
      아시아 및 남미계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한편, 미국의 쌀 수출은 미국내 공급과잉과 국제시장에서의
      주요경쟁국과 경쟁하기 위한 저가격 전략으로 2002년 이후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1.1.2.
      밀(Wheat)
      면적 및 단수의 증가세가
      이어져 2011년도 예상 생산량은 2001년 대비 약 12% 증가한 25억 부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소비는 가격상승으로 사료용
      소비는 감소하는 반면, 식품용 소비와 해외수요의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전체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1.1.3.
      대두(Soybean)
      미국의 대두산업은
      2002년 이후 2005년까지 내수 및 수출 호조로 호황을 맞을 것으로 예상하였고, 2011년까지의 면적은 7,600만에이커, 생산은 33억
      부셀 수준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고 소비는 대두가격의 하향 안정세에 힘입어 증가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표 2 주요 작물 생산 전망
      품 목
      2000/01
      2001/02
      2002/03
      2005/06
      2008/09
      2010/11
      2011/12

      190.9
      208.2
      203.0
      206.2
      208.0
      208.9
      209.3

      2,232
      1,958
      2,190
      2,275
      2,395
      2,475
      2,500


      2,758
      2,907
      2,945
      2,985
      3,165
      3,265
      3,310
      옥수수
      9,968
      9,430
      9,735
      10,310
      10,750
      11,075
      11,200


      16,799
      19,457
      18,000
      17,600
      17,100
      17,000
      17,000
      주:면화(thousand bales), 쌀(million hundredweight),
      밀·대두·옥수수(Million bushels)
      1.1.4.
      옥수수(Corn)
      옥수수 재배면적은
      사료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호조가 지속되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단수는 GMO 기술향상에 기인하여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생산은 2001년 99억 부셀에서 2011년 112억 부셀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1.5.
      면화(Cotton)
      면화는 국제시장에서
      소비량 확대로 2002년 이후 2∼3년간 생산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중장기적으로 감소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는 전작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며, 2011년 예상 재배면적은 2001년 대비 13% 감소한 1,300만 에이커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2.2. 축산업(Livestock)
      대규모 상업화된 축산과
      낙농부문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곡물 및 대두 가격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내수와 육류수출의
      확대로 적육(Red Meat) 및 가금류 생산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2.2.1.
      육우(Beef)
      쇠고기의 재고량이 과거
      몇 년간 감소세를 보임에 따라 사육입식이 늘어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생물학적 생육주기가 길어짐에 따라 2004∼2005년까지 비육우
      사육은 대폭 증가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따라서 2003∼2004년도 사육두수는 약 9,600만두, 2009∼2011년에는
      약 1억 400만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태평양 연안국을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있다.
      2.2.2.
      양돈(Pork)
      양돈부문은 수차례의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효과적인 수급구조가 확립될 것으로 전망되었는데 이는 혼합생산·유통계약과 같은 수직적 통합체제로의 전환이 지속되고 있어 생산비
      하락과 고품질 규격화가 촉진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장기적으로 미국의 양돈 수출은 태평양 연안국과 멕시코에 중점을 두고 추진될
      것으로 보이며, 동일지역시장에서의 캐나다와 경쟁관계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2.2.3.
      육계(Broiler)
      육계생산 증가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인구증가율 보다는 낮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특히 2009∼2011년에 육계산업이 성숙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육계생산증가율은 미미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있다.
      육계소비는 패스트푸드와
      가공용 수요가 육계산업의 중요한 내수성장 요인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한편, 장기적으로 육계수입은 낮은 가격의 중국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수출은 멕시코와 러시아에 대하여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1인당 계란 소비량은 가공 및 패스트
      푸드산업 확대에 기인하여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2.2.4.
      낙농(Dairy)
      2002년 이후 우유생산은 착유우 사육감소에도 불구하고 경영개선 및
      착유생산성 향상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내수 소비는 중장기적으로 느린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3.3. 농산물 무역 (Agricultural
      Trade)
      2003년을 기점으로
      국제무역과 미국농산물 수출은 수요와 자유무역 확대로 향후 10년 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특히 밀과 기타곡물의 경우 큰 폭으로 확대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면화 무역은 1990년대 보다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대두와 부산물은 개발도상국가의 소득증대, 식품의 다양화,
      축산물 및 사료수요의 증대에 기인하여 지속적으로 무역량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대두와 부산물의 수출은
      1990년대의 빠른 증가세보다는 낮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는 EU 지역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표 3 주요 축산물
      수급전망(단위: 백만 파운드, 백만 타스1))
      구 분
      2000
      2001
      2002
      2005
      2008
      2010
      2011
      육 우
      생 산
      26,888
      26,154
      25,431
      25,258
      26,068
      26,905
      27,413
      소 비
      27,290
      27,040
      26,311
      26,133
      26,193
      26,630
      26,988
      양 돈
      생 산
      18,952
      18,839
      19,155
      19,805
      19,997
      20,154
      20,213
      소 비
      18,626
      18,240
      18,635
      19,260
      19,332
      19,414
      19,408
      육 계
      생 산
      30,209
      30,673
      31,460
      33,086
      35,089
      36,104
      36,532
      소 비
      24,665
      24,611
      25,053
      26,379
      27,906
      28,709
      29,031
      계 란1)
      생 산
      7,035
      7,151
      7,270
      7,602
      7,934
      8,141
      8,247
      소 비
      5,928
      6,031
      6,139
      6,414
      6,690
      6,867
      6,959
      표 4 농산물 수출입
      전망(단위: 10 억불)
      2000
      2001
      2002
      2005
      2008
      2010
      2011
      농산물
      수출총액
      50.9
      53.0
      54.5
      61.3
      69.5
      74.8
      76.7
      농산물 수입총액
      38.9
      39.0
      39.0
      43.8
      47.9
      51.0
      52.5
      농산물
      무역수지
      12.0
      13.9
      15.5
      17.5
      21.6
      23.8
      24.2
      밀의 경우 1990년대
      후반보다 낮은 수준의 무역량 비중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국제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 육류무역과 미국육류
      수출은 2002년 이후 세계경제의 회복과 일본, 멕시코, 러시아의 육류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의 농산물 수출 총
      금액은 2001년 530억 달러에서 2011년 767억 달러로 증가하고, 수입은 2001년 390억 달러에서 2011년 525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따라 농산물 무역 초과잉여는 2001년 139억 달러에서 2011년 242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계측하였다.
      자료:USDA
      (이병훈
      shopper@krei.re.kr 02-3299-4235 농업관측센터)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병훈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63 0 11 0 0
  • 다음글 목재무역을 둘러싼 국제적 동향
  • 이전글 삼림인증제도에 관한 논의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