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e-세계농업 

제4유형
  •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대응전략
  •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대응전략

    저자
    정학균 , 김창길
    등록일
    2015.10.23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1.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대응 동향
      2.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정책
      3. 주요국의 농업부문 감축 정책
      4.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전략

    요약문

    ◦ 세계는 기후변화가 가져올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협약을 통해 온실가스 의무감축을 현실화하고 있음
    - 1997년 교토의정서를 체결하여 2020년까지 선진국 중심으로 감축의무 부담
    - 2015년 12월, 선진 및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2020년 이후 신기후체제 출범 예정

    ◦ 우리나라도 국제협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시
    - 202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대비 30% 자발적 감축 목표 설정
    - 금년 6월 신기후체제 협약에 대응하여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로 감축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부문별 감축 목표는 2016년에 결정될 전망

    ◦ 농업부문도 202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이미 할당되어 감축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2030년 감축 목표 설정에 대응하고 있음
    - 2020년 농업부문 감축 목표는 BAU 대비 5.2%인 148만 5천 톤임.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사업 확대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노력이 필요함
    - 2030년 농업부문 감축 목표는 2020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일본, 호주, 영국 등 주요국에서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전략 추진
    - 일본은 환경보전형 농업에 대한 메뉴방식의 직접지불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저탄소 농축산물을 적극적으로 홍보함
    - 호주, 일본은 배출권거래제에 의한 상쇄 크레디트 제공으로 농가 수익원을 창출함
    - 영국은 미생물을 이용한 가축분뇨 처리를 촉진하고, 바이오에너지 교부금을 지원하는 등 바이오매스 전략을 추진함

    ◦ 2030년 농업부문 감축 목표는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저탄소농업 체제로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는 수준으로 결정되도록 해야 하며, 2020년과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 농업부문의 핵심적인 온실가스 감축 전략으로 주요 온실가스 감축 관련 사업의 지속적인 확대, 저탄소 농업 실현을 지원하기 위한 재배기술 개발 등 R&D 추진, 배출권거래시장을 이용한 탄소거래형 감축사업 추진, 환경적 상호준수제도의 도입, 저탄소 농축산물의 소비 확대, 통계자료 및 산정․보고․검증 시스템의 구축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저자에게 문의

    정학균 이미지

    저자소개
    정학균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거시농정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3956 0 115 0 1
  • 다음글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4권 제10호
  • 이전글 지역의 문화 및 자원을 활용한 6차산업 활성화 방안: 제6회 KREI-RCRE 공동 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