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e-세계농업 

제4유형
  • Korea's Rural Development Strategy : english edition
  • 
						    Korea's Rural Development Strategy : english edition

    저자
    박시현
    등록일
    2020.11.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Conditions for Rural Development in Korea
      Chapter 3 Application of Overseas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to Korea: Community Development
      Chapter 4 Rural Modernization: Saemaul Movement
      Chapter 5 Application of Territorial Approach: Comprehensive Rural Area Development
      Chapter 6 Transformation of the Comprehensive Rural Area Development Program: Small Area Development Program
      Chapter 7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petition: Build-a-village Program
      Chapter 8 Rural Entrepreneurship: Rural Tourism, 6th Industrialization
      Chapter 9 Korea’s Expertise for International Partnerships

    요약문

    본 총서는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의 영문판이다.

    개발(또는 발전)이라는 용어는 매우 주관적이며 가치가 담겨진 것으로 통일된 의미를 형성하기가 쉽지 않다. 개발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강조하는 측면도 달라진다. 농촌개발 역시 그 나라의 발전 수준과 시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농촌개발은 과정과 현상 그리고 전략과 원리로 개념 지어진다. 따라서 한 나라의 농촌개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농촌개발 과정에서의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공공의 역할과, 농촌개발로 인한 농촌의 물리적, 사회·경제적 변화 현상 등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농촌개발이 추구하는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수단 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본 서는 1960년대 이후 지금까지의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을 정리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은 국제 사회에서 그 예가 많지 않을 만큼 빠른 경제 성장을 달성하고 선진국의 문턱에 도달한 나라이다. 한국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최빈국의 농촌 문제를 해결하고 이제는 선진국형 농촌개발 과제를 주요 정책으로 다루고 있다.

    한국의 농촌개발 경험에 대한 국제 사회의 높은 관심에 비해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거나 정리한 문헌은 많지 않다. 한국의 농촌개발 정책을 단편적으로 소개하거나 새마을운동을 한국 농촌개발 전략의 대표로 소개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새마을운동 이후 추진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을 외국에 소개한 문헌은 많지 않다. 한국은 최빈국에서 OECD 가맹국이 되고, 원조를 받는 국가에서 원조를 주는 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발전 단계별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만큼 세계 여러 국가로부터 한국의 농촌개발 경험을 알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농촌개발 경험을 국제 사회에 알리기 위해서는 농촌개발 정책 내용만이 아닌 정책이 만들어진 배경, 정책이 집행되는 한국의 특징, 정책 대상이 되는 한국 농촌의 변화에 대해서 종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서는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에 대한 국내외 관련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농촌개발 국제협력사업의 시사점을 얻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농촌 상황의 변화, 농촌개발 제도의 변화, 경제성장 과정에서 농촌개발이 차지하는 위치, 농촌개발 방식의 변화 등을 살펴본다. 국제 사회에서 논의되는 농촌개발 전략이 한국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을 다른 나라에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박시현 (Park, Sihyu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92694 1 147 0 0
  • 다음글 2019 외식업체 식재료 구매현황 보고서
  • 이전글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수립 방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