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농식품산업동향 

제4유형
  • 중국의 2001년도 농산물무역 동향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김태곤
    등록일
    2002.10.04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1. 2001년도 중국의
      대외무역
      중국의 해관통계에
      의하면, 2001년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5,098억달러로 3년 연속 과거 최고를 경신하였다. 또한 처음으로 5,000억 달러대를 돌파하였다.
      참고로 일본의 무역액이 5,000억 달러대에 이른 것은 90년대였다. 단지, 무역액 증가율은 전년 대비 7.5%로서 2000년 실적(31.5%
      증가) 보다 크게 둔화되었다. 수출입별로는 수출이 2,662억달러(6.8% 증가), 수입이 2,436억달러(8.2% 증가)를 기록하였다.
      무역수지는 225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였으나, 2000년 대비로는 16억 달러가 감소하여 3년 연속 전년을 하회하고 있다.
      수출 부문에서는
      6.8%의 성장률을 보여, 30%를 기록했던 2000년 실적보다 크게 둔화되었다. 그러나 최근 수출시장인 미국의 경기침체, 9·11 테러사건의
      영향, 세계적인 IT 수요 감소 등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과거 최고액을 경신했다는 것은 높이 평가할 만 하다. 수출에 있어서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⑴ 최대 수출시장인
      미국과의 무역에서 543억달러(4.2% 증가)를 기록, 수출성장률이 대폭 둔화되어 96년 이래 5년 만에 한자리대 성장률을 보이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수출성장률 둔화는 2000년 4분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경기침체 등이 주요 원인으로 특히 9·11 테러사건의 영향 등으로 하반기
      성장률(전년동기대비 2.7% 증가)은 상반기실적(6.0% 증가)을 밑돌았다.
      미국은 99년 이래 3년
      연속으로 중국의 최대 수출상대국(구성비 20.4%)의 자리를 지켰다. 또한 중국의 대미흑자는 2000년 대비 70억달러 감소한 281억달러를
      기록하였다. 미국 이외의 주요 수출국 및 수출지역은 홍콩(465억달러, 4.6% 증가), 일본(450억달러, 7.9% 증가),
      EU(409억달러, 7.1%증가) 등의 순이다.
      ⑵ 기계전기제품의 수출이
      1,188억달러(12.8%증가)를 기록, 순조로운 성장을 이어갔다. 이는 중국에 진출한 외자계 기업과 최근 급속히 실력을 키워 온 지역기업에
      의한 기계전기제품 수출 호조에 힘입은 것이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4.6%를 나타냈다. 또한 하이테크 제품의 수출도
      465억달러(25.4%)로 큰 성장세를 보였다.
      ⑶ 외자계 기업에 의한
      수출이 전년대비 11.6% 증가하여 두자리대 성장을 유지하였고, 수출비율이 처음으로 50%가 되었다. 이에 대해 국유기업의 수출은 2.7%
      감소하여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부진을 보였다.
      한편 수입은 국내
      수요확대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계기기류를 중심으로 13.6%가 증가하여 신장세를 보였다. 또한 중국 국내의 휴대전화, PC 등의 IT관련제품의
      생산·소비가 지속적으로 호조를 보여 관련부품의 수입이 늘고 있다. 여기에 WTO 가입효과 등에 따라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가 2000년이후
      급증하는 가운데 외국투자기업에 의한 생산설비 수입이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일본, 홍콩
      등 주요 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이 한자리대 성장 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침체를 보인 데 비해 미국, EU로부터는 두 자리대 성장으로 호조를
      유지했다.
      제품별(SITC분류)로
      보면, 1차 제품은 수출이 264억달러(3.5%증가)로 저조했다. 이는 곡물·곡물가공품, 석유·석유가공품, 방적섬유 등의 감소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그 결과 수출비율은 9.9%를 기록, 처음으로 10%대를 밑돌았다. 한편 수입은 459억달러(2.1% 감소)로 작년 70% 증가에서
      일변하여, 마이너스를 기록하였다. 이는 국제 원유가격 급등과 수입량 증가 등 2000년 증가요인이 완화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공업제품은 수출이
      2,398억달러(7.2%증가), 수입이 1,978억달러(10.9% 증가)로 계속하여 확대되었다. 비율은 각각 90.1%, 81.2%로 수출입
      모두 상승하였다.
      2. 농산물
      수출동향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2001년도 식량 생산량은 전년에 비해 2.1% 감소한 4억 5,262만톤이다. 감소요인은 농업구조조정에 따른 식부면적의 계획적
      감축 등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식량 생산량은 과거 최고를 기록했던 1998년의 5억 1,230만 톤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유지작물 생산량도 2,872만톤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한편, 면화생산량은
      전년대비 20.1% 증가한 532만톤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설탕은 15%가 늘어난 8,790만톤, 채소는 5%가 늘어난 4.45억톤으로 두 품목
      모두 증가하였다. 가금 및 수산품도 각각 일정 폭 증가하였고, 2002년 식량 생산전망에서는 최근 감소세에서 다시 5억톤대 생산을 달성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두칭린(杜靑林) 농업부
      장관은 21세기 중국의 농업수급에 대하여 식량수급에서의 자급자족전략을 지속적으로 이행할 것이며, 식량자급률은 95%보다 내려가지 않도록 하겠다고
      하였다.
      2001년 농산물
      무역액은 405억 달러(3.4% 증가)로 증가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전체 무역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0%(0.3%포인트 감소)이다. 이는
      농산물무역 이상으로 공업제품 등의 무역증가폭이 컸기 때문이다. 수출입별로는 수출이 224억 달러(2.7% 증가), 수입이 182억 달러(4.2%
      증가)였다. 이에 따라 농산물무역수지는 42억 달러(1.3억 달러 감소)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또한 농산물 무역 중에서
      곡물무역은 1995년 이후 순수입국으로 전환하였으나 95년 이후 계속적인 풍작으로 쌀, 옥수수 등의 수출이 급증, 1997년부터 순수출국이
      되었다. 2001년 곡물수출은 14억 달러(27.8% 감소)를 기록, 2000년의 40% 증가에 비해 급감하였다. 수입은 7억 달러(8.6%
      증가)하여 2년 연속 증가를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곡물무역수지는 7.5억 달러가 되어 곡물 순수출국의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2000년 실적보다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2.1. 곡물


      2001년 쌀 수출은
      수량으로는 185만톤(전년 대비 37.3% 감소)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2001년 쌀 시장가격이 상승한 데다 최근 주요 수출상대국인
      인도네시아에 대한 수출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쌀의 대인도네시아 수출은 1998년 136만 톤, 99년 73만 톤, 2000년 54만 톤으로
      감소하고있으며, 2001년에는 수출이 거의 정지상태였다.

      옥수수
      옥수수 수출은
      2000년에 급증하여 1,000만 톤대를 돌파하였으나, 2001년 40%가 감소하여 600만톤으로 떨어졌다. 2001년 상반기에 국내가격의 상승
      및 국제가격의 하락세에 따른 수출경쟁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2대 수출국인 한국과
      말레이시아 수출이 각각 308만톤(전년 대비 48.8% 감소), 135만톤(35.6% 감소)으로 급감하였다. 중국정부는 수출경쟁력 악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출보조금을 2000년의 368위안/톤(1위안=약 150원)에서 2001년에는 418위안/톤으로 인상하였으나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2.2. 유지원료

      대두
      중국의 대두는 수입
      증가에 따른 판매가격 하락에 따라 생산이 감소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흑룡강성, 길림성 등 주산지에서 '대두산업발전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식부면적 증가, 소매가격 상승추세가 보인다. 2001년 대두 수출량은 25만톤(전년대비 17.8% 증가)으로 98년 이래 증가세를
      유지하였다. 주요 수출국은 일본으로서 13만톤이 수출되어 전체의 53%를 차지하였다.

      땅콩
      땅콩은 산동성, 하남성이
      주요 산지이다. 땅콩의 국내가격은 최근 하락하고 있는데, 수출가격이 국제가격의 60~70% 수준이어서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2001년 수출도 수량으로는 49만톤(전년 대비 23.4% 증가), 금액으로는 2.6억달러(13.5% 증가)로 순조로운 성장을 보이고 있다.
      2.3.
      식용식물유
      식용식물유는 밀수단속
      강화의 여파로 국내산 수요가 늘어 99년에 수출이 급감하였다. 그러나 그 후에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2001년에는 수량으로는
      13.4만톤(전년대비 20.2% 증가), 금액으로는 수출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6,956만톤(3.8%증가)으로 증가하였다.
      2.4. 수산물
      수산물은 전체 수출액의
      9.7%를 차지하여 농수산물 중에서는 가장 비중이 크다. 2001년의 수출은 수량으로는 154만톤(전년대비 29.0% 증가), 금액으로는
      25.9억달러(14.2% 증가)로 수량과 금액 모두 신장세를 보였다.
      주요 품목별로는 대하
      수출이 1만 559톤으로 2년 연속 3배 가까이 급증하였고,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50%를 차지하는 냉동생선도 수량으로 98만톤(41.4%
      증가), 금액으로 12.7억달러(24.5% 증가)로 호조를 보였다.
      2.5. 축산물
      축산물의 국제시황은
      99년 이후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때문에 수출에서의 금액기준 증가율은 수량증가율에 비해 낮은 경우가 많다.
      생돼지 수출은 전체
      수출량의 90%를 차지하는 대홍콩 수출이 저조했기 때문에 수량으로는 197만마리(전년대비 3.3% 감소), 금액으로 2.2억달러(4.7%
      감소)로 감소하였다.
      축산물 수출주력제품인
      냉동닭고기 수출은 수량으로 35만톤(1.6% 감소)으로 약간 감소하였다. 전체 수출량의 약 50%를 차지하는 대일본과 대한국 수출은 2001년
      6월 조류독감 전염에 대한 우려 때문에 수입일시정지조치가 내려졌던 것도 감소요인이다. 그러나 금액으로는 5.3만톤(2.4% 증가)으로 3년
      연속으로 증가하였다.
      2.6. 채소류
      채소는 농산물 수출에서
      수산물 다음의 주력상품이다. 지역별로는 산동성, 광동성, 북건성이 3대 수출기지이다. 채소류는 가격경쟁력이 높기 때문에 최대 수출상대국인
      일본과는 세이프가드 잠정발동조치 등 마찰이 생겼으나, 이는 양국 정상의 합의에 따라 철회되었다. 2001년 수출은 수량으로 298만톤(전년대비
      21.6% 증가), 금액으로 17.5억달러(11.1% 증가)로 두 자리대 성장의 수출호조를 보였다. 특히 신선채소는 176만톤(26.8%
      증가)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한편 2000년에 급증한 건조식용 버섯류는 2.8만톤(6.7%)으로 수출이 저조하였다.
      2.7. 면화
      면화는 2001년
      식부면적이 약 20% 확대되었는데, 국내소비는 정체하고 있어 공급과잉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때문에 중국 정부로서는 98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수출확대를 기대하고 있었으나, 미국, 일본 등의 방적제품 소비침체 등의 영향으로 수량으로 5.2만톤(전년대비 82.1% 감소), 금액으로
      8,002만달러(동 73.8% 감소)로 급감하였다.
      2.9. 생사
      생사 수출은 99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계속 증가세를 보였으나, 2001년에는 수량으로 1.1만톤(전년대비 10.1% 감소), 금액으로도 전년대비 10.6%
      감소하였다.
      3. 농산물 품목별
      수입동향
      3.1. 곡물

      소맥
      2001년의 주요농산물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국내에서 수요가 큰 고품질 소맥은 생산량이 부족하여 어느 정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2001년 소맥 수입은
      69만톤(전년대비 21.2% 감소)으로 3년 연속 100만톤을 밑돌았다. 그러나 국내시장의 소맥 수급균형은 공급이 계속 상회하고 있기는 하나
      거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는 3,200 ~ 6,000만 톤으로 추산되는 대량 국가비축이 있기 때문인데, 소맥 생산량은 생산조정 등에 의해
      해마다 감소하고 있으며, 단년도 수급량을 보면 수요가 높은 고품질 소맥을 중심으로 1,000 ~ 2,000만 톤의 공급부족을 겪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WTO 가입에 의하여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쌀은 1995년이후
      증산되는 경향이 있어 각지에서 상당량의 과잉비축이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수입은 주로 광동성 등이 수입하는 태국산 쌀로 한정되어 있다.
      2001년 쌀 수입은 수입가격이 낮게 억제되어 있어, 수량으로는 27만톤(전년대비 12.8% 증가)으로 두 자리대 성장을 보였으나, 금액에서는
      9,885만달러(12.3% 감소)로 감소하였다.

      옥수수
      2001년 옥수수 수입은
      3만톤으로 여전히 소량에 그치고 있다. 국내시장은 계속적인 공급과잉 상태에는 변화가 없으나 최근 2년간 감산,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 수출증가
      등에 따라 과잉압력은 완화되고 있다.
      3.2. 대두
      대두 수입은 2000년에
      1,000만 톤 남짓으로 증가하여 수입농산물 중 최대상품이 되었다. 2001년에도 수량으로 1,394만톤(전년대비 33.8% 증가), 금액으로
      28.1억달러(23.8%)로 대폭 신장하였다. 수입국별로는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이 3대 수입상대국으로 3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량의
      99.7%를 차지한다.
      대두수입이 급증한
      배경으로는 대두의 국내식부면적·생산량이 감소 또는 정체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점이며, 대두는 식용 식물유의 착유후 사료로 쓰인다. 최근에는
      사료수급 차원에서 대두수입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2002년 수입전망은 3월 20일부터 「농업유전자변형 생산안전관리 조례」가 시행되어,
      1분기에는 이와 관련한 추가 수요로서 300만톤의 수입이 예상되며, 그 후에는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변형 농산물무역에 대해서는
      2002년 2월에 방중한 미국의 부시 대통령이 장쩌민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선처를 요청한 바 있다.
      3.3. 식물유
      식용 식물유 수입은
      대두수입의 확대에 따라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2001년에는 수량으로는 165만톤(전년대비 7.9% 감소)으로 감소, 금액으로는 수입가격 하락에
      따라 4.8억달러(23.8% 감소)를 기록하였다.
      3.4. 기타
      ⑴ 사료용 어분, 동물용
      사료
      축산업과 수산업의
      발전으로 국내 사료수요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용도를 보면 약 50%가 닭 사료용, 약 40%가 돼지사료용, 나머지 약 10%가 수산물과 기타
      가축용이라고 한다.
      2001년 사료용
      어분수입은 수량으로 90.1만톤(전년대비 24.0% 감소), 금액으로 4.8억달러(15.9% 감소)를 기록하여 3년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수입
      감소의 원인으로는 어분이 다른 배합사료로 대체된 점, 국내비축이 비교적 풍부한 점, 어분용 정어리의 어획량 감소 등이 있다. 2000년에는
      금액기준으로 급증한 동물용 사료의 수입도 2001년에는 수량으로는 8.2만톤(19.5% 감소), 금액으로는 1.1억달러(29.6% 감소)로
      급감하였다.
      ⑵ 원목 및
      제재
      2000년 목재제품
      수입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1998년 대홍수 후에는 대폭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1년 원목 및 제재수입량도 수입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각각 1,686만㎥(23.9% 증가), 402만㎥(12.3% 증가)로 대폭 증가하였다.
      자료:日中經濟協會,「2001年の中國農業」(2002. 4)에서
      (김태곤 taegon@krei.re.kr
      02-3299-4241 농정연구센터)
      주: 중국의 대외무역, 2001년(표 1), 중국의 제품별 대외무역,
      SITC분류(표 2), 중국의 품목별 대외무역(표 3), 중국의 농산물무역, 2001년(표 4), 중국
      주요농산물 수출(표 5), 중국의 주요 농수산물 수입(표 6)는 원문 참조.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태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859 0 4 0 0
  • 다음글 중국의 농업산업화와 용두기업 실태
  • 이전글 중국 WTO 가입이후 농산물무역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