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중국, 2018년 식품소비 트랜드
1925

원문작성일: 2018.03.09.

원문작성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최근 제일재경상업데이터센터(第一财经商业数据中心CBNData)와 커우베이(알리바바 산하 생활 서비스 플랫폼)은 ‘2018년 생활 소비 트렌드 보고서(2018生活消费趋势报告)’를 공동 발표함.


동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소비층의 변화 및 1인당 가처분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내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음.


1인 식사: 대도시에서 혼자 살고 있는 젊은이들이 점점 많아짐에 따라 새로운 생활방식이 나타나고 있음.
빠른 생활 리듬, 다양한 입맛으로 ‘1인 식사’가 보편화되고 있음. 커우베이(口碑) 데이터에 의하면, 각 연령대별 일인 식사 소비량은 계속 늘어나고, 그 중 1995년 이후 출생한 젊은 층을 뜻하는 ‘95허우’가 가장 많음.


건강식: 건강에 대한 관심은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젊은 소비자층의 관심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 2017년 여름, 중국에서는 인터넷을 중심으로 보온병에 구기자를 우려 마시는 것이 유행으로 번짐.


온라인 쇼핑몰에서 95허우들의 ‘구기자’ 관련 검색률과 실제 구매량이 증가하였음. 구기자 외에도, 건강식에 대한 젊은층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2017년 7~8월 기준, 건강식에 대한 관심은 95허우 소비자층이 중장년층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남. 현재 젊은 층에게 꿀, 구기자, 유청 단백질, 건강차, 효소 등이 특히 인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테이크아웃: 배송 및 온오프라인 비즈니스 모델의 발전에 따라, 소비자의 일상생활은 더욱 편리해 지고 있음.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배송 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성장되는 동시에 연령층의 소비자 수도 함께 증가되고 있음. 그 중에서도 95허우 소비자 수의 증가율은 가장 빠름.


집에서 주문하는 것 이외에도, 소비자들이 집 근처 편의점, 마트에서 쇼핑하는 것을 원해, 2016년과 2017년 소비 데이터를 비교하면 집과 200미터 이내, 200~500미터 이내 편의점 및 마트의 주문량은 모두 성장세임.


인스턴트식품: 알리바바 데이터에 의하면, 2015년부터 현재까지 인스턴트식품의 소비량은 계속 성장세를 보이면 시장은 여전히 열기가 뜨거운 것으로 알려짐. 현재 인스턴트식품은 효율적인 식사뿐만 아니라, 특정 소비층의 개성적인 수요도 충족시킬 수 있음.


예를 들어 90허우, 95허우 소비자가 즐겨 먹는 즉석 훠궈는 편하게 먹을 수 있어 요즘 각광받고 있으며 확실히 인스텐트식품 시장에서 새로운 히트상품으로, 2017년 7~9월 온라인 쇼핑몰에서 매출액은 3개월 동안 몇 배로 증가함.


운동 관련: 요즘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운동과 건강식’의 생활방식이 선호되고 있음. 건강식 중 샐러드가 가장 대표적인 식품으로 주문량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 2017년 샐러드 판매량의 증가율은 전체 테이크아웃식품 시장 증가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