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체코, 외식시장 동향
1393
 
원문작성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문작성일: 2017.09.19.

 
체코 외식시장은 소득 증가 및 관광업 활성화 등으로 전년대비 6.8% 성장세를 보임. 특히 건강한 재료 및 조리법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국적인 음식에 대한 수요 높음.
 
2016년 기준 체코 외식시장 매출규모는 1,329억 체코 코루나(605,062만 달러)로 전년대비 6.8% 성장함. 2015년의 5.7% 성장에 이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이는 20154.5%, 20162.4%의 경제성장률을 웃도는 성장률로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으로 여가활동에 더 많은 지출이 이뤄졌기 때문임.

최근 유럽 주요도시의 테러로 인해 체코 국민의 국내여행이 증가했으며, 외국인 관광객 유입도 증가해 2016년 체코 관광객은 전년대비 약 7% 증가함. 관광객 증가로 최대 관광도시인 프라하를 중심으로 외식시장도 활기를 띠고 있음.

경제성장 및 관광업 활성화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Euromonitor는 체코 외식시장이 2016~2021년 동안 연평균성장률(CAGR) 3.6%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외식산업에서는 특히 주류 및 음료의 비중이 높음. 체코에서는 식당에서 식사를 마친 후에도 음료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식당에서 음료의 비중이 45.2%로 음식과 대등한 수준으로 높음.

이는 간단한 음식과 함께 맥주를 즐기는 펍 문화와도 연결되어 있어 대부분의 식당이 기본적으로 맥주, 와인 등 주류와 다양한 음료 메뉴를 갖추고 있음. 음료도 외식시장에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

201612월부터 모든 식당 및 숙박업을 대상으로 매출거래를 전자적으로 등록해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전자매출등록시스템이 시행됨. 이에 따라 EET 단말기 구입 등의 이유로 식당 및 카페의 식음료 가격이 20171월 기준 전년대비 7%나 상승함.

외식가격 상승은 프라하, 브르노 등 대도시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음. 프라하의 경우 점심메뉴(스프와 메인메뉴를 포함해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의 가격이 EET 시행 이전 100체코 코루나(5,200) 내외였으나 현재는 110~130체코 코루나 수준임.

체코에서 외식업계의 프랜차이즈 비중은 낮은 편으로 체코에서 운영되는 외식업체 35,746(2016) 중 체인점의 비중은 4.7%에 불과함.

패스트푸드점의 프랜차이즈 비중이 35.5%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피자 프랜차이즈를 포함한 배달·테이크아웃 전문점이 5.7%를 차지함.

프랜차이즈 체인점은 주요도시를 중심으로 서서히 증가하나 프랜차이즈의 확장영역이 좁고 아직까지 관광지와 쇼핑몰을 제외하고 중소규모 식당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보편화되지 않음.

체코에서는 개별 외식업체의 수가 많아 규모면에서 McDonald’s, KFC 등 대형 프랜차이즈의 시장점유율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임. 맥도날드, KFC, 버거킹과 같은 글로벌 프랜차이즈 기업이 대형 쇼핑몰, 관광지, 고속도로 휴게소를 중심으로 입점해 있음.

체코 프랜차이즈는 맥주 및 음료회사가 운영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표적으로 Pivovary Staroprame의 음식점 체인인 Potrefena Husa(27개점)Kofola의 생과일주스 체인인 Ugo(57개점)가 있음.

그 외 체코 프랜차이즈로는 바게트 샌드위치를 판매하는 Begeterie Boulevard가 체코 내 28개점을 운영하고 슬로바키아, 독일, 두바이로 진출해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경제전문지 Ekonom은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체코의 음식·음료 트렌드를 소개함. 건강한 재료와 조리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이국적이고 새로운 음식에 대한 수요 증가로 수제빵, 아시아 음식, 생과일주스 등과 같은 식음료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

소득 증가와 SNS 활성화로 체코 내 소비경향이 대도시와 젊은 층을 중심으로, 기존의 보수적인 성향에서 점차 새로운 제품을 시도하고 경험해 보고자 하는 추세로 변하고 있음.

이에 따라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체코 외식업체는 현장 및 인터넷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답함. 따라서 체코 외식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업체는 무엇보다도 시장진출 이전에 전시회 참여, SNS 동향 파악, 현장답사 등을 통한 사전조사가 필수적일 것임.

현재는 패스트푸드 및 카페 프랜차이즈가 대부분으로 아시아 음식분야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프랜차이즈 확대 가능성이 엿보임. 프랜차이즈 진출에 있어 외국기업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체코 기업과 외국계 기업에 동일한 조건이 적용된다는 장점이 있음.

체코 프랜차이즈협회(Czech Franchisee Association, Czech Franchise Institute)는 체코 내 프랜차이즈 관련 홍보, 교육을 통해 인지도 확대를 위해 노력 중임. 또한 국제 프랜차이즈 콘퍼런스인 'Franchise Day Prague'를 매년 개최하고 있어, 해당 전시회에 참여해 진출 동향을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임.

한식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 부족하기 때문에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함. 한식당이 늘어나는 추세나 대부분 인지도가 높은 일식과 겸하고 있고 높은 가격대로 베트남, 중국, 태국 음식점에 비해 한식의 인지도는 낮은 편임.

한편으로 한식당을 방문하는 체코인의 비율은 점차 높아져 한식에 대한 가능성은 열려있음. 체코 펍문화를 반영한 안주 위주의 한식 펍이나 셀프서비스가 가능한 한식 카페테리아 등 다양한 형태의 외식업 진출도 고려해 볼 수 있음.


자료: Euromonitor, Ekonom, 체코 통계청, 체코 일간지(idnes.cz, ihned.cz, E15.cz) 등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