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독일, 차 시장 동향
1636
 
 
원문작성일: 2017.12.08.
원문작성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독일에서 차(Tea)는 와인, 커피와 함께 대표적인 기호음료이며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할 전망임.
 
2016
년 독일거주 인구 1인당 차(커피, 허브·과일 차를 제외한 홍차, 녹차) 소비량은 약 28리터로 따뜻한 음료 중에서는 커피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음료임. 건강과 관련된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성향이 차 트렌드에도 반영되고 있어, 다양한 한국 차 제품의 독일 시장진입 기회가 높아짐.

독일의 2016년기준 차의 총 매출액은 65,570만 유로임. 2016년 독일 거주 인구 1인당 차 소비량은 28리터로 10년 전보다 평균 3리터를 더 마시며,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독일은 차 원료를 중국, 인도 등의 나라에서 수입해 완제품으로 가공해 수출하는 차 생산국임. 201657,518톤의 차를 수입하여 같은 해 EU개국으로 25,413톤의 차 제품을 수출함.

독일에서 차(Tea)는 와인, 커피와 함께 대표적인 기호식품이며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2016년 차(홍차+녹차) 소비량은 총 19,220톤으로 독일 국민 1인당 평균 소비량은 28리터임. 독일은 홍차의 소비량이 녹차 소비량보다 약 2.5배 많음.

독일의 소비자들은 먹고 마시는 식·음료품의 생산방식 및 유통환경에 대해 관심이 높음. 이와 관련해 유기농 제품만을 취급하는 판매점에서 다양한 차 제품을 찾아 볼 수 있음. 차 제품은 제조 시 많은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는 구매 시 재료가 생산된 방식을 중요하게 생각함.

기존의 잎녹차, 티백 제품 외에도 가루 녹차(말차)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요리 또는 베이킹에도 녹차를 사용하는 등 가루녹차 제품이 늘고 있음. 가루녹차가 다이어트 및 체중감량에 효과가 있으며,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각종 매체의 정보로 인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 2015년 독일 내 가루녹차 매출액은 2763,000유로였으나, 2016년 매출액은 7006,000유로로 약 2.5배 성장함.

독일의 차(HS Code 0902) 수입규모는 2015년도에 약간 주춤했으나, 2016년 독일의 차 전체 수입액은 23,100만 달러로 전년도 대비 3.25% 증가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차 시장의 최대 대독일 수출국은 중국과 인도 두 국가로 수입시장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음. 특히 인도의 수출액은 2016년도 중국의 수출액이 약 1.89% 감소한 것에 반해 약 8.39%증가함.

우리나라의 대독일 차 수출액은 2016년도 120만 달러로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독일의 차 제품의 대부분(52.9%)은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을 통해 유통됨. 독일에서 차 제품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포장형태는 기본적인 티백제품이며, 전통적인 포장형태인 잎차제품이 그 뒤를 잇고 있음. 현재 소비자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포장형태는 피라미드 형태의 삼각티백, 리프컵(Leafcup), 마스터백 등이 있음.

-EU FTA 협정으로 인해 한국 제품은 독일을 포함 대유럽 수출 시 무관세가 적용됨. 차 제품의 경우 수입업체의 확인의무사항(식품규정) 외에 큰 규제사항 없음. 대형 수입상 또는 전문 유통 바이어들은 제품 규격이나 라벨링, 포장, 통관, 물류 등의 수입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시장 진출 시 적절한 현지 파트너 발굴이 필요함.

독일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는 차를 마시는 문화가 식음료 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어, 안정적인 소비처가 형성돼 있음.

또한 차는 웰빙 트렌드에 따라 건강음료로 인식되고 있어 유기농 매장에서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독일에서 한국의 전통차나 녹차 등에 대한 노출빈도가 아직은 높지 않으나, 대규모의 차 생산업체 또는 차 전문매장에서 한국의 차 원료 또는 제품을 조금씩 취급하고 있음. 우리나라 기업들은 차·음료 관련 전문전시회 등에 참가하는 등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독일 및 유럽 차 시장 진입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


자료: Nielsen, World trade atlas, Deutscher Teeverband, Statista, 유럽의회, 독일 연방통계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