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중국, 중국 레저식품시장 확대
1360
 
 
원문작성일: 2017.12.27.
원문작성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중국 내 1인당 평균수입의 증가와 소비 상승세에 따라 레저식품에 대한 소비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규모 또한 안정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중국의 중상산업연구원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2011~2016년까지의 중국 레저식품 규모는 3,205억 위안에서 4,520억 위안까지 증가했으며,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7%에 달함. 특히 2020년에는 6,20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보임.

레저식품은 휴가나 휴식 시에 먹는 음식을 말하며, 과일·채소류, 곡물류, 육류, 생선류 등을 원료로 하여 만든 빠른 소비품의 일종임.

중국 식품공업협회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중국 레저식품업계의 연간 생산액은 20041,931억 위안에서 20149,050억 위안까지 증가했으며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16.7%. 특히 2019년에는 19,925억 위안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레저식품업계 내의 세분 영역별로 발전된 단계는 다르며, 업계마다 경쟁구조에는 비교적 큰 차이가 존재함. 중국 내 레저식품시장에서의 세부영역은 크게 건조식품, 사탕, 과자, 튀긴 식품, 볶은 견과류로 나눌 수 있음.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건조식품시장 경쟁은 심하지 않은 편이며, 집중도는 비교적 낮음. 초콜릿, 과자 및 튀김식품 시장의 경우 외국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비교적 높은 집중도를 지속적으로 보임.

사탕시장의 경우는 현재는 아직 점유율이 종합적으로 우세한 브랜드는 존재하지 않고, 다만 사탕 세분화시장 상에서만 선도자의 위치에 있는 브랜드가 존재함.

볶은 견과류의 경우 오프라인 시장 집중도는 비교적 낮으며, 온라인에서는 과두경쟁의 국면을 보이고 있음. 특히 성장속도가 빠른 편에 속하는데, 중국식품공업협회의 데이터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연간 생산액이 283억 위안에서 863억 위안으로 성장함.

건강식품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식품영양성분, 건강지표 및 효능과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견과류 및 말린 과일 등의 제품의 수요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중국 레저식품의 시장이 이미 기본적인 규모를 갖췄지만 레저식품의 일인당 평균 소비량과 소비액은 여전히 낮음.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레저식품 시장 규모의 발전 속도가 빨랐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레저식품의 1인당 평균 소비량과 소비액을 기타 국가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큰 차이를 보임. 현재 중국 레저식품의 1인당 평균 소비량은 2.15kg이며 1인당 평균 소비액은 75.28위안임.

레저식품업계는 개인 소매, 마트, 체인경영,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나뉨. 그 중 개인소매와 마트가 비교적 전통적 경영방식이고, 체인경영과 전자상거래는 최근 2년간 발전하기 시작한 것임. 비록 마트가 여전히 레저식품의 주요 판매업체이지만, 소비자들이 구매체험, 브랜드 효과 및 제품의 품질 등을 점차 중시하면서 체인경영 방식이 미래에 더욱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임.

역관지고(易观智库; 모바일관련 통계기관)에 따르면 전자상거래를 통한 식품 구매 고객층의 28.2%18~28, 46.9%28~38세임. 또한 직업별 특징에서 보았을 때, 화이트칼라 직업군의 비율이 전체의 47.2%를 차지함. 이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더욱 브랜드 품질과 서비스를 중시하고, 브랜드에 대한 인식 수준과 충성도가 특히 높음.

1,4분기에는 기온이 낮고, 휴일 및 기념일이 많으며 '쌍십일(双十一)', '쌍십이(双十二)'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의 판매촉진활동 또한 이 시기에 많아 판매량이 높음.

최근 2년간 레저식품업계에서의 전자상거래 발전은 두드러짐에 따라 규모가 비교적 작고 품질이 좋지 못한 기업들이 이 채널을 통해 시장에 많이 진출하게 됨. 그러나 이러한 소매상들에 대한 품질관리제도가 완벽하지 못한 상태임. 갈수록 품질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제품 관련 품질인증은 필수적임.

과거 경제주기와 관련성이 높았던 레저식품은 현재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현대 중국인들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주기와 관련 없이 판매량이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또한 타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소비량과 발전수준이 눈에 띄게 낮음. 이에 따라 앞으로 발전 가능성은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음.


자료: 中国产业信息, 中商产业研究院, 中国食品工业协会, sina, 百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