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산물 시장을 둘러싼 국내외 여건이 크게 변하고 있다. DDA, FTA 협상의 진전과 타결은 농산물 시장의 개방이 더욱 확대될 것임을 의미한다. 밭작물 또한 시장개방 확대가 불가피하며 국내 밭작물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밭작물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와 국내 농산물 유통환경이 최근 크게 변하고 있다. 소비자는 안전하고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선호하며, 유통업체의 대형화와 직거래 유통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농산물 유통환경의 변화를 감안한 농산물 생산 및 공급체제, 유통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밭작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밭작물의 재배단계에서부터 수확후 유통단계까지 종합적인 관리를 통한 품질 향상, 우수브랜드의 개발과 그 경영체를 육성해야 한다. 이를 통하여 밭작물의 품질 경쟁력을 제고하고 외국산 밭작물과의 차별화를 도모함으로써 시장개방 확대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밭작물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밭작물인 콩, 옥수수, 감자, 고구마의 수급 및 유통 현황, 주산지 실태를 파악하였다. 둘째, 농산물시장 개방 확대가 국내 밭작물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밭작물 사업 현황을 파악하여 밭작물 사업의 문제점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셋째, 고품질 밭작물 브랜드사업 모델 개발 및 육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38232 | 2 | 3 | 4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