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이슈+

럼피스킨(LSD) 발생과 대응

2023.11.10 3255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이용건, 지선우; 유찬희
  • 등록일
    2023.11.10
목차

1. 럼피스킨(LSD) 특성과 주요국 발생 동향
2. 국내 럼피스킨 발생 및 대응

요약문

신속하고 정확한 백신접종 및 럼피스킨 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방역 주력 필요
• 럼피스킨(Lumpy Skin Disease: LSD)은 소(한육우, 젖소)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흡혈 곤충 매개 전염병으로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관리
• 럼피스킨(LSD)은 아프리카에서 중동, 유럽 등 지역으로 전파됨. 2019년에는 중국으로 전파되면서 아시아지역으로 확산, 2023년 10월 한국에서 최초 발생
• 2023년 10월 20일 럼피스킨(LSD) 국내 최초 발생 이후 18일 동안 83건 발생, 5,480마리 살처분, LSD 확산에 따라 긴급 백신접종 실시 등 차단방역 주력(2023년 11월 7일 14시 기준)

저자정보
이용건
연구위원
소속: 연우회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이용건
연구위원
소속: 연우회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3255
  • 다운로드
    429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국제유가 상승 가능성, 한국 농업 부문에는 어떤 영향이?
이전글
기후 위기와 농업·농촌의 대응 : ② 태풍, 호우, 산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