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정포커스

2011년산 쌀 수급 전망 및 시사점

2011.12.02 13746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한석호, 승준호
  • 등록일
    2011.12.02
  • 연구주제
    농업생산유통.
목차

1. 최근의 쌀 가격 상승과 원인
2. 2011년산 쌀 수급 및 가격 전망
3. 시사점과 과제

요약문

2011년산 쌀 생산량이 전년대비 다소 감소하였으나, 수요량은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어 신곡 수급 상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됨. 그러나 쌀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농가들이 벼 출하를 지연함에 따라 산지 쌀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11월 15일 산지 쌀 가격은 10월 평균 가격대비 0.5% 상승한 16만 5,792원/80kg으로 수확기 사상 가장 높은 수준임.

올해 농가의 벼 출하가 더욱 지연되는 주된 이유는 부정확한 생산량 통계 때문인 것으로 파악됨. 즉, 작년 수확기에 수급 실세보다 낮게 벼를 판매한 것에 대한 보상심리가 작용하고 있으며, 금년산 쌀 가격이 하락할 경우 2013년 목표가격이 하향 조정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음.

농가들의 출하 지연에 따른 시장공급량 감소로 2011년산 수확기(11~12월) 산지 쌀 가격은 16만 5천 원/80kg 내외의 현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쌀 생산량이 수요량을 초과함에도 불구하고 수확기 산지 쌀 가격이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12양곡연도 단경기(7~9월) 가격은 금년 수확기 가격에 비해 약보합세를 나타낼 전망임.

쌀 수급 안정과 매년 되풀이되는 수확기 농가의 벼 판매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첫째, 벼 판매를 조합에 위탁하고 가공, 판매 후 농가에 정산하는 수탁거래 활성화가 필요함. 둘째, 2013년에 변경될 쌀소득보전직불제의 목표가격에 대한 정부의 선제적 대응이 요구됨. 셋째, 논 소득기반 다양화사업은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후변화 등을 고려한 쌀 생산조정제의 유연한 추진이 요구됨. 넷째, 쌀 생산량과 소비량에 대한 공식통계의 신뢰성 회복을 위한 정부의 관심과 투자가 필요함.

저자정보
한석호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한석호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3746
  • 다운로드
    13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농산물 수출증대의 요인과 경제적 파급효과 : 신선농산물을 중심으로
이전글
2011년 김장시장 분석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