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농정포커스
한‧미 FTA 발효 7년, 농식품 교역 변화
						
                    목차
                        	1. 한‧미 FTA 이행과 농식품 교역 동향
2. 주요 품목별 수입 실태
                        
요약문
                        	○ 한‧미 FTA 이행 7년차(ʼ18년) 對미 농식품 수출은 8억 달러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고, 수입은 93.7억 달러로 전년보다 19.7% 증가 
– FTA 발효 전 감소 추세를 보여 왔던 對미 농식품 수출은 FTA 발효 후 연평균 8.8% 증가해 이행 7년차 수출액은 발효 전 평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101.3% ↑)
– 2018년 미국산 농식품 수입이 크게 증가한 것은 FTA 이행 7년차 관세감축 외에도, 견고한 국내 육류소비 증가세,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단기적인 수출선 전환 등에 기인
○ FTA 이행 7년차 미국산 쇠고기와 돼지고기 수입량은 각각 전년 대비 18%, 33% 증가
– (쇠고기) 대형유통업체의 수입육 매장 확대, 수입육 판매식당 증가 등 소비자가 수입육을 직접 소비하는 기회가 증가하면서, 미국산 냉장육의 수입비중이 큰 폭으로 상승(8.5%→24.4%)
– (돼지고기) 사육두수(1,137만 두), 생산량(93.8만 톤) 모두 역대 최대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햄, 캔 등 가공용 식품원료육(16.9만 톤, 7.2%↑) 수요가 수입증가를 견인
– 현재, 한우와 수입쇠고기의 소매가격 차이가 매우 높지만, 이는 오히려 수입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전체 쇠고기 수입량에서 냉장육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국내 소비자의 선호 및 품질에서 차별적인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자의 경쟁력 제고와 비용절감 노력이 지속되어야 함.
○ 미국산 과일 수입은 FTA 관세 감축과 소비자 기호의 다변화에 따른 해외과일 선호 증가로 확대
– FTA 발효 초기에 수입이 크게 증가한 오렌지, 체리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감소(각각 1.5%, 9.8%)한 반면, 포도(관세인하 및 차별화된 수입시기)와 아보카도(건강식에 대한 소비자 선호 증가)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각각 93.8%, 136.3% 증가
– 미국산 과일 수입비중은 1996년 전체 과일소비의 2.8%에서 한‧미 FTA가 발효된 2012년 9.3%로 증가하였으며, 2017년 수입비중은 10.8%에 이름.
○ 지난 15년 동안 한‧칠레, 한‧미 FTA 국내보완대책 등을 통해 많은 과일‧과채의 품질경쟁력이 향상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수출시장을 개척할 가능성도 높음.
– 소비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수입과일로 인한 국내 과일‧과채 시장의 경쟁심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해외시장의 비관세장벽을 해소하고, 수출지속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둔 정책적 지원이 동반되어야 함.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6213
 - 
                        좋아요2
 - 
                        다운로드532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양봉산업의 위기와 시사점
 
- 이전글
 - 2018년 국민들은 농업‧농촌을 어떻게 생각하였나? 국민의식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