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농정포커스
동남아 6개국(CLMVIP)의 쌀 산업과 국제개발협력사업 추진 방향

목차
요약문
동남아 6개국(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쌀 산업 현황 및 관련 정책과 한국의 국제협력사업 추진 현황을 검토하여 향후 이들 국가의 쌀 산업 부가가치화를 위한 맞춤형 협력사업 발굴 추진 필요
● 한국 정부는 2018년 8월 28일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를 출범, 신남방 정책 대상 국가들 중 동남아 6개국(이하 CLMVIP 국가)은 공적개발원조(ODA) 중점협력국가이며, 중점협력분야로 농업분야가 포함됨.
● CLMVIP 국가는 2018년 기준 세계 쌀 생산면적의 21.8%를 차지하는 주요 쌀 생산 국가로 쌀 산업 관련 ODA 지원이 필요함.
동남아 6개국의 쌀 생산량 지속적으로 증가
●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쌀 생산량 연평균 증가율은 1%로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동남아 6개국의 쌀 수출량은 전 세계 쌀 수출량의 22.8%를 차지
●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는 쌀 수출국으로 볼 수 있음.
● 쌀 생산량이 가장 많은 인도네시아를 비롯하여 필리핀, 라오스의 쌀 수출량은 적은 편임.
그러나 쌀 생산성이 전 세계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며 경쟁력이 비교 열위에 있어 관련 ODA 지원 필요
● 인도네시아, 필리핀: 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 필요(우수 품종 개발, 농자재 산업 지원, 기술보급 등)
● 베트남: 쌀 부가가치 제고 및 가치사슬 개선을 위한 지원 확대(RPC 등 저장 및 가공시설, 수확후관리 등)
●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쌀 고품질화 등 고급화 전략 지원 필요(유기농 쌀 생산, 쌀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가공 등)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121922
-
좋아요1
-
다운로드634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2019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 이전글
- 태평양동맹 준회원국 가입 관련 한-멕시코 농축산물 교역 동향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