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정포커스

2020년 주요 농산물 품목별 전망과 현안

2020.03.11 73746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국승용, 김종인; 박성진; 서홍석; 윤종열; 김원태; 이형우; 한은수
  • 등록일
    2020.03.11
목차

1. 2020년 한국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
2. 2019년산 단경기 쌀 가격 수확기 대비 상승 전망
3. 2020년 국제곡물 가격 소폭 상승 예상
4. 과일 품종 다각화, 배 포장규격 변화, 딸기 생산 확대
5. 월동무 가격 하락, 상반기 김치 수입량 감소 전망
6. 양파·마늘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 의무자조금 추진
7. 한육우 사육두수 증가, 돼지 사육두수 평년보다 많아

요약문

2020년 농업생산액은 전년과 비슷, 농가소득은 농업소득과 이전소득 증가로 4,500만 원에 근접할 전망
• 코로나19 확산 및 장기화에 따른 경제 성장 둔화를 반영하면 농업생산액은 전년보다 0.1% 감소, 농가소득은 5.2% 증가할 전망

2019년산 단경기 쌀 가격 수확기 대비 상승 전망
• 2019년산 단경기(7~9월) 쌀 가격은 공급 부족 예상으로 수확기보다 2.1% 상승한 19만 4천 원/80kg 내외 전망
• 2020년 벼 재배의향면적은 높은 쌀 가격 등으로 감소세가 둔화되어 전년 대비 0.9% 감소에 그친 72만 4천 ha 수준

미·중 무역분쟁을 비롯한 국가 간 무역분쟁 확산, 주요 곡물 주산지에 발생하는 기상이변, 아르헨티나 주요 곡물 수출세 강화, 주요국의 ASF 발생은 국제 곡물 수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2020년 봄 40%의 엘니뇨 발생 가능성은 곡물 주산지의 곡물 단수 및 국제 곡물 가격 변동에 영향 가능성

주요 과일의 신품종 갱신·신규 식재 확대, 신품종 과일류의 소비 확대를 위한 홍보·판촉 활동 강화 필요
• 과일 품종의 다각화는 과수농가 소득 향상과 과일 소비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신품종 과일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제고, 실질구매 연계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홍보·판촉 활동 전개 필요
• 배 소포장 유통의 산지 연착륙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홍보 강화, 효율적인 소포장 방식 및 포장재 개발 등 정책적 노력 필요
• 다수확 품종인 설향 재배, 고설 수경 재배 확대에 따른 딸기 생산량 확대 추세, 시세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 필요

2020년 엽근채소류 재배면적 전년보다 증가, 수입량은 감소 전망
• 2020년 재배면적은 태풍 피해로 전년 출하기 가격이 높았던 봄·가을 작형의 면적 증가 영향으로 전년보다 8% 증가 전망
• 김치, 당근 등의 (관련)품목 수입량은 생산량 증가 및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전년보다 감소 전망

2020년 조생종양파 가격은 평년 대비 높지만 난지형마늘 수확기 가격은 평년보다 낮을 전망
• 조생종양파 재배면적 감소로 생산량이 전년과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수확기 도매가격은 평년 대비 강세 전망
• 남도종마늘 재고량이 평년보다 많고, 마늘 생산량도 평년보다 증가하여 난지형마늘 수확기 도매가격은 평년 대비 약세 전망

2020년 한우 사육 마릿수 증가세 지속, 돼지 사육 마릿수 평년보다 많을 전망
• 송아지 가격 강세로 번식 의향이 높아지면서 2020년 한우 사육 마릿수는 증가세가 지속되며, 한우 도축 또한 늘어날 것으로 예상
• 모돈 사육 의향 저하로 2020년 평균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많을 것으로 전망

저자정보
국승용
선임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국승용
선임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73746
  • 다운로드
    2443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제 곡물 시장 영향 및 전망
이전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타결과 농업부문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