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농정포커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목차
1. 영향분석 시나리오
2. 영향분석 결과
3.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KREI-KASMO 모형을 통해 코로나19가 우리나라 농업부문에 미친 영향을 추정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개발·운용 중인 KREI-KASMO(KREI-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외 코로나19 확산 및 경제성장지표 변동에 따른 농업부문 파급영향을 총량적으로 분석함.
• 시나리오1(국내는 6월 말 이후 안정, 국외 확산은 지속), 시나리오2(국내 및 국외 확산이 연간 지속), 시나리오3(국내 및 국외 확산은 지속되나 수출량 증가폭 제한)을 상정하여 농업부문에 미친 영향을 추정함.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세계 및 국내 경제침체로 한국 농업부문 생산액은 베이스라인 대비 0.4~1.0% 감소
• 시나리오 분석 결과, 농업부문 생산액은 베이스라인 대비 0.4%(시나리오1)~1.0%(시나리오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외 경제 위축에 따른 국내 및 해외 농산물 수요 감소 효과가 환율 상승으로 나타나는 가격 상승 효과보다 큰 것으로 분석됨.
화훼류 생산액 감소율이 가장 크고 가금류, 채소류, 곡물류 순으로 감소, 반면 육류와 과실류는 생산액 증가
• (화훼류) 2~3월 성수기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졸업행사 취소 및 개학 연기, 행사·공연 취소에 따른 소비 부진으로 생산액은 베이스라인 대비 5.7~7.0%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
• (과실류) 환율 상승으로 수입과일 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량 감소와 국산 과일 수요 증가 효과가 경제 위축에 따른 수요 감소 효과보다 커 생산액은 베이스라인 대비 0.4~0.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 (우제류) 주요 생산 국가의 공급망(육가공업체 폐쇄) 차질로 인한 수입단가 상승 및 수입량 감소와 가정 내 육류 수요 급증에 따른 국내 수요 증가로 생산액은 베이스라인 대비 0.6~1.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환율 상승 영향으로 무역수지 적자는 베이스라인 대비 4.4~7.6% 개선되며, 자급률은 상승
• (수입액) 환율 상승폭에 따라 베이스라인 대비 3.4%~5.5%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
• (수출액) 환율 상승폭에 따라 베이스라인 대비 0.0~1.4%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 (자급률) 수입량 3.1~4.8% 감소로 자급률은 0.3~0.4%p 확대될 것으로 추정됨.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140923
-
좋아요3
-
다운로드3003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The Impacts of the COVID-19 on the Korean Agricultural Market
- 이전글
- 코로나19와 농업 고용노동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