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보도자료
2019년 농가소득 4천만 원대 진입하고, 농림어업취업자수 증가세 이어질 전망

“2019년 농가소득 4천만 원대 진입하고, 농림어업취업자수 증가세 이어질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19』 대회를 통해 발표 -
Ⅰ「농업전망 2019」행사 개요
□ 행사명 및 대주제
❍ 제22회 「농업전망 2019」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 추진 일정
❍ 서울대회: 2019.1.23.(수), 잠실 롯데호텔(1,800여 명 참석 예상)
- 영남대회(2019.1.29.(화), 경상북도청), 호남대회(2019.1.31.(목), 전라북도청)
□서울대회 프로그램 구성
❍ 제1부(2019년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
- 특별강연: 포용국가와 농업‧농촌의 가치(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 2019년 농정방향과 주요 정책과제(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 2019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박기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장)
❍ 제2부(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를 향한 농정의 이정표): 발표 및 토론 방식
- 1분과: 농업‧농촌의 새로운 가치(직불제, 일자리, 농촌유토피아)
- 2분과: 건강한 먹거리 해법(푸드플랜, 표시정책, 미래기술기반 먹거리 산업)
- 3분과: 농산업, 새로운 기회(신기후체제, 농업혁신시스템, 빅데이터 활용)
- 4분과: 평화와 세계화, 우리의 과제(대북 농업협력, 국제통상, 중국의 혁신)
❍ 제3부(산업별 중장기 미래): 발표 및 질의응답 방식
- 농림축산물 40개 품목의 2019년 및 중장기 수급 전망 등
* 1분과 곡물, 2분과 과일‧과채‧임산물, 3분과 채소, 4분과 축산
Ⅱ「농업전망 2019」주요 전망 내용
□2019년 농업생산액 전년보다 1.5% 감소한 49조 4,420억 원 전망
(쌀과 한우의 가격 상승 폭이 컸던 전년보다 감소하나, 2017년 대비 2.6% 증가)
❍ 재배업 생산액 전년과 비슷한 30조 4,840억 원 전망
- 곡물 생산액 쌀‧감자 가격 크게 높았던 전년 대비 4.7% 감소, 채소도 1.4% 감소 예상
- 반면, 과실류 생산액 전년보다 13.0%, 특용‧약용도 8.6% 증가 전망
❍ 축잠업 생산액 전년 대비 3.8% 감소한 18조 9,580억 원 전망
- 닭 생산액만 0.5% 증가, 한육우 1.4%, 돼지 7.9%, 계란 1.8%, 오리 6.9% 감소 예상
□2019년 농가소득 전년 대비 증가, 4,000만 원대 진입 전망
❍ 농가소득 전년보다 1.1% 증가한 4,006만 원 전망
- 농업소득은 경영비 증가 등으로 전년보다 1.9% 감소한 1,052만 원 예상
*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 비중 하락 예상(`18년 27.1% → `19년 26.3%)
- 농외소득은 겸업소득과 사업외소득 증가로 전년보다 4.4% 증가한 1,758만 원 예상
- 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1.3% 감소하는 반면, 비경상소득 0.9% 증가 예상
※ 변동직불금 : 통계청은 농업소득에 포함, 본 연구원에서는 이전소득에 포함
□농가인구 감소세 2019년에도 지속되나, 농림어업취업자수 증가 전망
❍ 농가인구 전년보다 1.7% 감소한 234만 명, 농가호수 1.4% 감소한 101만 호 전망
-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 전년보다 0.4%p 상승한 43.3% 예상
❍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세 이어져 전년보다 1.5% 증가한 136만 명 전망
2019년 농업구입가격지수 전년보다 상승, 반면 농가판매가격지수 하락 전망
❍ 농업구입가격은 경영비 상승 영향으로 전년보다 소폭(0.5%) 상승 예상
❍ 농가판매가격은 곡물류와 축산업 가격 하락으로 전년보다 2.3% 하락 전망
2019년에도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감소세 이어질 전망
❍ 경지면적 전년보다 0.8% 감소한 159만 ha, 재배면적 0.9% 줄어든 162만 ha 예상
❍ 농가인구당 경지면적 전년 대비 0.8% 증가하여 ‘19년 67.9a 전망
2019년 가축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증가 전망
❍ 가축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2.4% 증가한 192백만 마리 예상
2019년 농축산물 수입 전년보다 증가하나, 수출 증가폭 더 클 것으로 전망
❍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275.8억 달러, 수출액은 2.2% 증가한 65.5억 달러 전망
- 수출액 증가폭 확대로 무역수지 적자 전년 수준 예상
식생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육류‧수입과일 소비 증가, 곡물‧채소 감소 전망
❍ 소비자의 식생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육류와 수입과일의 소비는 연평균 각각 1.3%, 2.2% 증가하는 반면, 곡물과 채소는 각각 0.7%, 0.9% 감소 예상
<관련 사진 보러 가기>
- 다음글
- 2019 농업전망 영남대회 개최
- 이전글
- '2019 농업전망 대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