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보도자료

경실련 발표문에 대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입장

2023.04.12
884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카테고리
작성자
성과확산팀

경실련 발표문 주요 논지


❍ 경실련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22~2030년 쌀 생산량 전망 시 과거 추세와 비교해 10a당 생산량은 크게, 재배면적 감소세는 작게 추정하여 결과적으로 쌀 생산량을 과다하게 추정하였다고 주장하였음. 

- (10a당 생산량) 최근 20년 추이는 연평균 503kg(실제 505kg), 최근 10년 추이는 516kg(실제 520kg)인데 농경연은 541kg으로 가정하였음.

- (재배면적) 최근 20년 추이는 연평균 1.93% 감소(실제 1.75% 감소), 최근 10년 추이는 연평균 1.52%(실제 1.50%) 감소하였으나 농경연은 0.54%(실제 0.55% 감소)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음. 

- (생산량) 이에 따라 생산량도 최근 20년 추이는 연평균 1.63%(실제 0.88% 감소), 최근 10년 추이는 연평균 1.95%(실제 1.29% 감소) 감소하는데도, 농경연은 연평균 0.03%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음.


경실련 발표문 주요 논지에 대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입장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은 양곡관리법 개정 수정안(양곡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수정안)이 통과된 이후에 나타나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쌀 수급 측면에서의 변화를 추정함. 경실련의 분석은 과거 추세가 양곡관리법 개정 이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농경연 보고서에서는 모형분석을 통하여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도입된 이후 시장격리가 의무화되면 일어나는 쌀 수급 변화를 예측하고 있음. 

- 경실련은 과거 추세분석을 통하여 양곡관리법 개정안 도입 이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동일하게 유지될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원의 추정결과를 반박하고 있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은 새로운 제도 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것이나, 경실련의 분석은 새로운 제도 도입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논지를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정부가 과잉생산된 쌀을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되면 쌀 농가가 타작물로 전환할 요인이 줄어들 것을 가정하여 보고서를 작성함. 경실련의 뷴석에서는 이를 어떻게 고려했는지 명확히 기술되어 있지 않고, 논 타작물 전환을 통해 쌀의 과잉공급이 해소될 것을 기대하고 있음. 과잉공급량 의무매입으로 쌀 농사의 판매와 소득이 명확한 상황에서 타 작물로의 전환이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견해임.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의 요지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도입되면 쌀가격이 상대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점, 이에 따라 생산이 베이스라인 전망치 대비 확대될 것이라는 점 등에 근거하여 과잉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임.

- 논 타작물 재배 지원 등을 통하여 쌀 과잉공급을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과잉공급된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되면 쌀 재배 농가들이 논에 타작물을 재배할 요인이 줄어들 것임. 논에 어떤 작물을 심건 판로가 확실치 않은 상황이라면 판로가 확실한 쌀을 재배하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임. 

- 정부가 과잉생산된 쌀을 일정한 가격으로 매입할 것이 확실하다면 쌀 농가들이 타작물로 원활히 전환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움. 

- 과잉 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한다는 정책은 쌀농가에게 벼 재배를 지속하게 유도하는 신호로 작용하게 될 것임. 양곡관리법 개정안 도입 이전에도 구조적으로 공급과잉인 쌀 수급은 이로 인해 더욱 악화될 것이 우려됨.  


❍ 마지막으로 경실련의 분석은 쌀 생산량, 재배면적, 생산량 추세 등에 대한 분석방법의 객관성을 의심케 하는 부분이 있음. 가장 최근 자료인 2022년산을 특별한 설명 없이 제외하였으며, 추세분석 방법도 일관되지 않음. 그 결과 경실련의 분석결과는 실제 추세와 비교해 10a당 생산량은 작게, 재배면적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라 생산량도 실제보다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한 것이 아닌지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함. 

- 경실련은 최근 추세 분석에서 합리적인 설명 없이 2022년산은 제외하였는데, 이에 따라 10a당 생산량은 더 작게, 재배면적 감소폭은 더 크게 분석될 수 있음. 

- 또한 추세 분석 시 재배면적과 10a당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감률을 단순 평균하는 방식을 활용하였으나, 생산량 추세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분석하고 있어 분석 방법의 일관성이 결여됨.

※ 경실련이 재배면적과 10a당 생산량 추세 분석에서 적용한 대로 전년 대비 증감률을 단순 평균하여 2021년산까지의 쌀 생산량 추세를 살펴보면 최근 20년 추이(2002~2021년)는 연평균 1.52% 감소, 최근 10년 추이(2012~2021년)는 연평균 0.7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실련의 수치(각각 1.63%, 1.95% 감소)보다 생산량 감소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향후 전망치 중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도입되지 않았을 때의 베이스라인 전망치를 살펴보면 2022~2030년 기간 중 벼 재배면적이 연평균 1.29%, 쌀 생산량이 1.51% 감소하여 최근 10년 추세치(재배면적 1.50%, 생산량 1.29% 각각 감소)와 거의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음. 다시 말해서 양곡관리법 개정 수정안이 도입되지 않는다면 지금의 추세가 2030년까지도 비슷하게 유지된다는 것이 연구원의 보고서에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음.

다음글
사회 전반의 포용성과 지속가능성 향상 위해 통합적이고 적극적인 식품 소비정책 필요
이전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대 원장에 한두봉 교수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