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보도자료
농식품 중국 수출 확대 위해 통관 세관별 맞춤형 대책 수립 필요

“농식품 중국 수출 확대 위해 통관 세관별 맞춤형 대책 수립 필요”
‘한‧중 FTA 시대 양국 농식품 안전분야 협력방안’ 연구 통해 밝혀
한‧중 FTA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서는 한‧중 양국이 FTA 협정에 의거한 농식품 안전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우리 농식품의 중국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중국의 제도와 정책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수출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우리 농식품의 중국 수출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 수립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정정길 연구위원은 ‘한‧중 FTA 시대 양국 농식품 안전분야 협력방안’ 연구를 통해 최근 우리 농식품의 중국 수출 시 통관 검사 불합격 판정 사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 농식품의 주요 통관 불합격 사유는 통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품별로도 하나의 특정 사유로 인해 집중적으로 통관이 불허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정 연구위원은 “우리 농식품의 중국 수출 시 통관 지역(항구)별 차별화된 맞춤형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 연구위원은 우리 농식품의 중국 수출 확대를 위한 한‧중 농식품 안전 분야 협력방안으로 한‧중 FTA 협정 결과를 활용한 협력, 정부 공인기관의 업무협조를 통한 협력, 수출입 농식품 검사검역공조체계 구축, 해외공관의 농식품 업무 강화 및 담당관 파견 범위 확대, 유관 정책 및 제도변화 내용 상호 통보 및 수출업체와 수입업체 간의 협업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첨부: 보도자료 1매
* 보고서 원문 보기
- 다음글
- 채소 계약재배 활성화 위한 7가지 제안
- 이전글
- 기술혁신을 통한 농산업 경쟁력 강화 위해, 수요자 중심의 혁신네트워크로 전환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