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보도자료

2016년도 KREI미래농정포럼 본회의 개최

2016.04.28
3101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카테고리
뉴스
작성자
대외협력실
2016년도 제1차 KREI미래농정포럼 본회의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4월 28일(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2016년도 제1차 ‘KREI 미래농정포럼’ 본회의를 개최했다.

포럼의 위원장인 최세균 KREI 원장은 “올해는 중장기 농업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운영해 온 KREI미래농정포럼의 지난 3년간의 성과를 집대성하여 분과별로 미래농정 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며, 연구원의 특별연구과제로도 연계·추진해 우리 농업·농촌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포럼의 공동위원장인 이태호 서울대 교수는 미래농정포럼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되 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작년 운영 실적을 공유하고 올해 운영 방향을 논의했으며, 농업분과, 농촌분과, 식품·유통분과, 농업통상분과 순서로 경과보고와 올해의 계획을 발표하는 순서로 이루어졌다. 농업분과는 올해 ‘미래 농업 변화’, ‘쌀 직불제’, ‘지역농정 추진 체계’ 등의 주제를 다룰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농촌분과는 지역개발과 복지의 두 분야로 나눠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지역개발 소위에서는 농업·농촌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장 큰 변화로 인식하고 올해 더욱 구체적으로 접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복지 소위에서는 해외사례를 살펴보고 우리 농촌 복지를 다시 한 번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식품·유통분과에서는 올해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식품과 소비, 농산물 수급 정책의 실효성 등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접근할 것이라고 방향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농업통상분과에서는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와 농식품 부문 신성장 동력 창출 방안’이라는 구체적인 주제를 밝히며, 올해는 더욱 구체적인 주제와 이슈를 발굴하겠다고 발표했다.

2014년 4월 출범한 ‘KREI 미래농정포럼’은 농업·농촌 및 농식품 관련 국정과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필요한 연구 이슈를 발굴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농업분과, 농촌분과, 식품·유통분과, 농업통상분과의 4개 분과로 구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2015년도에는 총 25회의 회의를 개최했다.


*관련사진보기

 

 

 

다음글
KREI 김창길 박사, OECD 농업환경공동작업반 의장 연임
이전글
KREI, 제16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