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보도자료

국제농업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협력방안 논의

2017.04.04
2665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카테고리
뉴스
작성자
대외협력팀
국제농업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협력방안 논의
-KREI, 국제 ODA 포럼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은 4일(화) 오전 10시 부터 신라호텔(서울 장충동 소재)에서 ‘국제농업개발사업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전략’이란 주제로 국제 ODA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국제포럼은 IFAD, 세계은행, ADB, FAO 등 국제기구와 국내의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농업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및 전략, 농업·농촌 협력 전략 실행 및 성과관리 방법, ICT 기반 국제농업협력사업의 성공적 사례 등을 통해 국제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 전략을 공유하자는 취지로 개최됐다.
 

김창길 원장은 축사를 통해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협력에서 지속가능성과 효과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국제기구, 각 정부, NGO 및 민간부문에서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방향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쿤다비 카디레산(Kundhavi Kadiresan)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사무부총장보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업 개발협력정책의 방향’이란 기조연설을 통해 “농업분야에서의 지속가능한 국제협력을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공통된 기조가 있어야 하며, 민관협력 강화, 민간재원 활용 및 기술혁신 도입을 위한 민간 부문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농업분문에서의 지속가능하고 포괄적인 성장을 통한 기아 종식과 빈곤탈피를 위해서는 국제협력사업의 각 주체들 간의 사례 및 의견 공유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폴 윈터스(Paul Winters)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영향평가부 국장은 ‘IFAD의 농업개발협력 전략 틀과 사업 추진동향, 그리고 향후 전망’ 발표에서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촌 변화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이를 위하여 IFAD는 농촌인구의 생산역량 및 시장참여 강화,  환경적 지속가능성 강화 등을 주요 전략으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국제협력국 정일정 국장은 ‘한국의 국제농업개발협력 전략과 추진동향, 그리고 향후 계획’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농식품부가 추진하고 있는 농업분야 국제협력 사업 동향을 소개하였으며, 향후 개도국에 적용가능한 기술을 활용고 현지 상황에 맞춘 ODA사업 추진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ODA 사업의 시행과 평가의 독립적, 체계적 운영을 통하여 ODA 사업 환류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마푸즈 아메드(Mahfuz Ahmed) 아시아개발은행 농촌개발 및 식량 자문관은  ‘아시아 개발은행의 농업분야 사업추진: 우선순위와 미래 방향’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아시아 개발은행은 2020년까지 수확전·후손실 감소와 생산성 향상, 가치사슬 각 단계의 연결 강화, 식품 안전성 향상 등을 우선순위로 둘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인터넷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지리정보시스템(GIS) 등의 기술을 활용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레리 누르야티(Leli Nuryati) 인도네시아 농업부 농업정보국장은 ‘ICT 기반 ODA 저개발국 성공 추진 사례’란 발표를 통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과 추진하였던 ‘인도네시아 국가 농식품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의 내용과 주요 결과를 공유했다. 이 사업을 통하여 국가 농식품 정보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농식품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확산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관련 세미나, 워크숍, 연수 등을 통하여 ICT 관련 인력 양성에도 기여한 바가 크다고 밝혔다.
 

토론 세션에는 이명수 전 농림부 차관, 정기환 한국농촌발전연구원장, 곽재성 경희대학교 교수, 임정빈 서울대학교 교수, 김태윤 서울대학교 교수, 송양훈 충북대학교 교수, 허 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장 등이 참여해 국제농업개발협력 추진동향과 전략, 성과관리를 통한 국제농업개발협력 사업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등에 관하여 논의했다.
 

 

 *관련사진 보기

 

다음글
밭농업, 지역별·품목별 맞춤형 전략 수립 필요
이전글
KREI, 개원 39주년 기념식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