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보도자료
소규모 산림경영 국제세미나 개최

![]() | ‘소규모 산림경영 국제세미나' 개최 김창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 동정 |
김창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은 10월 18일(수) 13시부터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소규모 산림경영 수익성 향상’을 주제로 국제세미나를 개최한다.
임업은 건강한 산림생태계 관리, 기후변화 대응, 지속가능한 성장에서 갈수록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실제로 유럽의 임업 선진국은 임업을 통한 농산촌 활성화를 실현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험준한 지형과 영세한 소유규모에서 비롯된 낮은 수익성 때문에 침체된 상태이다.
이에 이번 국제세미나는 소규모 사유림 경영(small-scale forestry)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임업 선진국의 사례와 지원정책을 공유하고 국내 적용 방안에 대해 토론한다.
민경택 KREI 연구위원이 ‘한국의 소규모 산림경영 현황과 정책과제’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오스트리아, 독일, 일본의 전문가가 참석해 각국의 산림경영 사례에 대해 발표한다. 발표 이후에는 석현덕 KREI 선임연구위원 주재로 원현규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 권오복 한국임업진흥원 산림탄소인증센터장, 김준순 강원대 교수, 박주원 경북대 교수, 산림경제학회장인 안기완 전남대 교수, 이상귀 산림경영인협회 부회장, 정호근 KREI 연구위원이 토론한다.
<세부 일정>
1. 일시: 2017년 10월 18일(수) 13:30~
2. 장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전남 나주)
3. 주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주제: 소규모 산림경영 수익성 향상(International Seminar on Improving the Profitability of Forest Management: Small Scale Forestry)
○ 등록(13:00 ~ 13:30)
○ 개회식(13:30 ~ 13:40)
• 김창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 주제 발표(13:40 ~ 16:30, 한/영 동시통역 진행)
• 주제1: 오스트리아의 소규모 임업경영 실태
- Alois Schuschnigg (Austrian Research Centre for Forests, BFW)
• 주제2: 독일 바이에른주의 소규모 임업경영 실태
- Carl von Butler (Bayern Forest Owner Association)
• 주제3: 독일 산림경영의 수익성 개선 사례
- Herbert Borchert (Department of Forest Technology, Economics and Timber, Bavarian State Institute of Forestry)
• 주제4: 일본의 산림경영 현황과 향후 방향
- Shin Nagata (대일본산림회 부회장, 도쿄대학 명예교수)
• 주제5: 한국의 소규모 산림경영의 현황과 정책 과제
- Kyung-taek M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토론(16:30 ~ 18:00)
• 석현덕(좌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원현규(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
• 권오복(한국임업진흥원 산림탄소인증센터장)
• 김준순(강원대학교 교수)
• 박주원(경북대학교 교수)
• 안기완(전남대학교 교수, 산림경제학회 회장)
• 이상귀(산림경영인협회 부회장)
• 정호근(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다음글
- 제12차 동북아농정연구포럼, 한·중·일 농정 연구자 모여 농촌 지역 활성화 논의
- 이전글
- 동북아농정연구포럼(FANEA) 국제심포지엄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