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보도자료

5월 7일자 동아일보 “올해도 金사과 우려...산불로 재배면적 줄어” 기사에 대한 설명자료

2025.05.07
65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카테고리
설명
작성자
국제협력실

□ 5월 7일자 동아일보 ‘올해도 金사과 우려...산불로 재배면적 줄어’ 기사에 대한 추가 보완 설명을 제공합니다.


<보도 내용>

 □ 이번 산불로 사과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1.7% 줄어든다는 전망, 이미 5월 사과 가격 평년 대비 65% 비쌀 것으로 예측, 올해도 금사과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보도


<설명 내용>

 □ 5월 유통될 사과는 2024년산 저장사과로 산불 발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고, 오히려 사과 저장량 증가로 인해 5월 사과 가격은 전년 대비 18% 하락 전망

  ㅇ 경북 산불 발생으로 저온저장고 피해있으나, 출하 안정적으로 진행

   * 4월 반입량: 가락시장 전년 대비 35.7% 증가

               안동농협 공판장 전년 대비 65.0% 증가

 

 □ 지난 10여년(‘15~’25)간 사과 재배면적은 연평균 0.4% 증가하였으며, 산불 발생으로 감소한 2025년산 피해면적은 전년의 1% 수준으로 사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을 전망 

  ㅇ 기존 2025년 사과 재배면적 조사결과(4.2), 농가 고령화, 노동력 감소, 경영비 상승 등으로 줄어 전년 대비 0.6% 감소 전망되었으며, 산불 발생으로 추가 감소

  ㅇ 산불 피해면적을 반영한 재배면적 재추정 결과(5.2), ‘25년 사과 재배면적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7%, 3.1% 감소한 32,758ha


■ 2025년 사과 재배면적 재추정 결과

 단위: ha, %


구분

2025

2024

평년

증감률

전년 대비

평년 대비

기존(4.2)

33,113

33,313 

33,820 

-0.6

-2.1

산불 이후(5.2)

32,758

-1.7

-3.1


자료: KREI 농업관측센터, 통계청



□ 2025년 사과는 개화기 수정률 높아 결실상태 양호하여 현재로서는 생산 차질 우려는 크지 않음

 □ 사과 생산량은 향후 기상여건에 따라 변동 가능하며, 산불 피해에 따른 실질적 영향은 6월 중 착과량 조사 등 향후 산불 피해지역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이전글
한국농촌경제연구원-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미래 농업인재 양성과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