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제안
도시농업과 치유농업간의 상생방안
2025.02.18
93

카테고리
답변완료
작성자
이정호
이메일
cm8540@naver.com
소속(기관명)
(사)전국도시농업관리사연합회
과제성격
중장기 과제(전략적 대형 핵심과제)
<도시농업>
. 2012년 도시농업관련법에 의함(도시민에게 식물, 곤충, 반려동물을 매개체로 해서 취미, 여가 선용) ..... 농업농촌의 가치를 도시민에게 교육
<치유농업>
. 2022년 치유농업관련법에 의함(농업농촌의 자원을 활용하여 치유농업의 산업화)...... 농업농촌의 농외수익에 기여
<문제점>
치유농업은 법제정 당시의 농업농촌의 수익 창출 기대에 못 미쳐 결국 도심의 기존 도시농업영역까지 활동범위를 확대하여 두 자격증 보유자 간 갈등이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음
<대 안>
1. 정부에서 법 제정의 취지에 맞게 활동 법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2. 두가지의 자격증을 통합하는 방법("예" 2018년 영국에서 실제로 통합하여 사회적 농업으로 재 탄생 사례)
<참 고> 2023년 농림축산식품부 발표 도시농업제3차5개년계획의 상생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 하였지만 적용하기에는 애매 보호 하므로 금차 상생 방안을 연구 과제로 선택해 주실 것을 바람니다
도시농업과 치유농업 상생방안 | |
도시농업 | 일상생활에서의 건강회복. 스트레스해소 등의 교육 |
치유농업 | 질병. 치료.재활 등의 전문적인 분야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02.18
안녕하세요. ‘연구제안’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건은 26년도 일반과제 원외 제안으로 접수되어, 해당내용을 관련 연구자들에게 전달하였습니다.
추후 연구자의 과제 추진의사가 있을 경우, 연구원의 심의 과정을 거쳐 과제가 선정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연구원 과제 발굴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 다음글
- 스마트팜 종류별 수익분석
- 이전글
- 미래 농촌 소득 다변화를 위한 곤충산업 발전방안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