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해외출장연수보고
2011 캄보디아 KSP 최종보고회 및 고위정책대화 해외출장

1. 출장건명 : 2011 캄보디아 KSP 최종보고회 및 고위정책대화 해외출장
2. 출장목적 :
੦ 기획재정부(당시 재정경제부)와 KDI는 캄보디아 경제재정부(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MEF)
의 협력 하에 ‘06년에 '캄보디아 재정적자 보전 및 생명보험 도입방안'을, ‘09년에 ‘캄보디아 마이크로파이낸스와
민간투자사업’을 주제로 한국의 경제개발경험 공유사업(KSP)을 실시하였음.
੦ 이명박 대통령의 ‘신아시아 외교구상’의 일환으로 ‘09년 10월 대통령의 캄보디아 순방 시 원조공여 확대를 제안,
한국과의 전략적 경제협력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캄보디아가 ’10년 중점지원국가*로 선정됨.
* 중점지원사업은 다년도 포괄 컨설팅을 제공하는 사업이며, 캄보디아는 올해 사업 2년차를 맞음.
੦ ‘10년, 킷촌 경제부총리(겸 경제재정부 장관) 등을 면담하여 양국 간 합의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
4개 영역(거시성장, 금융, 산업기술, 수출진흥)을 선정하여 중점지원 1년차 사업을 실시
੦ ‘11년, 중점지원 2년차 사업으로 캄보디아 중소기업, 산업정책, 수출 분야의 총 5개 주제에 대해 정책자문을 실시
하고 있으며, 표준 분야의 1개 주제에 대해 역량강화 연수를 실시하였음.
– 세부실태조사: 2011년 4월 24일~30일(킷촌 부총리 겸 경제재정부 장관 면담)
2011년 6월 6일~8일, 이상 프놈펜
– 정책세미나 및 2차 세부실태조사: 2011년 8월 7일~12일, 프놈펜
– 중간보고회 및 정책실무자연수: 2011년 10월 9일~14일, 서울 및 경기도 일대 (캄보디아 대표단 13명을 초청)
– 『국가표준 인프라 구축 전략』연수과정: 2011년 11월 20일~26일, 서울
੦ 연구의 최종결과를 캄보디아 고위 정책결정자 및 정책실무자와 공유하고, 2012년 KSP의 주제로 캄보디아 측이
요청하는 바를 청취하기 위해 본 출장을 계획
3. 출장지역 : 캄보디아 프놈펜
4. 출장기간 : 12년 1월 18일(수) ~ 20일(금) (2박3일)
5. 출 장 자
부서명 | 직 급 | 성 명 |
식품유통연구부 | 부연구위원 | 장재봉 |
7. 주요 출장 결과: 파일첨부
- 다음글
- APEC 식량안보 워크숍 참석
- 이전글
- 남아공의 단감 및 과실류의 수출 및 수출조직 운영실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