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해외출장연수보고
농업부문 기후변화 대응 유관기관 방문

1. 출장건명 : 농업부문 기후변화 대응 유관기관 방문
2. 출장목적
○ 미국의 기후변화 대응 연구기관, 세계 기후변화 대응 정책연구기관 전문가와의 심층면담 및 공동연구과제 발굴 협의
- 미국 농업부문 기후변화 영향분석 연구기관: 미국 농무부 농업연구청(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DA ARS) 농업시스템연구부
- 세계 기후변화 예측 및 영향분석 연구기관: 미국 국립대기과학연구소(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NCAR) 응용기상연구부
- 세계 기후변화와 식량정책 연구기관: 국제식품정책연구원(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IFPRI)
- 미국 농업부문 기후변화 대응 정책연구기관: 미국 농무부 경제연구소(US Department of Agriculture, Economic Research Service, USDA ERS) 자원환경연구부
- 세계 기후변화 영향 및 대응 총괄기관: 세계은행(World Bank)
3. 출장지역 : 미국 콜로라도, 워싱턴
4. 출장기간 : 2012년 9월 16일(일)∼23일(일) (6박 8일)
5. 출 장 자
부서명 | 직 급 | 성 명 |
자원환경연구부 | 선임연구위워 | 김창길 |
자원환경연구부 | 초청연구원 | 문동현 |
6. 출장일정
일자 | 이동상황 | 방문기관 ( 주요 면담자) | 주요 내용 |
09.16(일) | 서울 ⇨ 덴버 | - | ∙ 출국, 숙소도착 |
09.17(월) | 콜로라도 포트콜린스 | USDA-ARS Agri System Unit Dr. Laj R. Ahuja (연구부장) 외 5명 | ∙USDA-ARS의 기후변화 관련 연구분야 논의 ∙미국 농무부 중부연구시험장 견학 |
09.18(화) | 콜로라도 볼더 | NCAR Climate Science and Applications Program Dr. Lawrence Buja (연구부장) 외 4명 | ∙NCAR의 조직과 연구현황 ∙미국의 농업분야 기후변화 대응 관련 응용기상분야의 연구 추진현황 ※ NCAR와의 공동연구 과제 발굴관련 현지 전문가 협의회 개최 |
09.19(수) | 덴버 ⇨ 워싱턴D.C. | - | ∙미국 현지 이동 |
09.20(목) | 워싱턴D.C. | IFPRI Dr. Mark Rosegrant (환경연구부장) 외 2명
| ∙IFPRI의 기후변화 대응 주요 연구추진 현황 ∙IFPRI의 기후변화 영향분석 모델링의 성과 ※ IFPRI와 KREI의 연구협력 및 공동연구과제 발굴 논의 |
World Bank Dr. Mike Torman (연구팀장) Dr. Pai-Yei Whung | ∙세계은행의 농업분야 기후변화 연구동향 ∙기후변화 영향분석 모형관련 연구 성과 ∙농업분야 기후변화 대응 스마트농업의 주요국의 사례 및 관련 프로그램 ※ WB의 기후변화 관련 연구 프로젝트 참여, WB와 KREI의 연구협력 방안 | ||
09.21(금) | 워싱턴D.C. | USDA-ERS Dr. Marca Weinberg (환경연구팀장) 외 6명 | ∙ERS 의 자원환경분야 연구추진 동향 ∙기후변화 대응 농업분야 경제적 영향분석 연구 추진 동향, 연구성과 ※ USDA-ERS와의 공동연구 및 향후 양기관간 MOU 관련 협의 |
09.22(토) ~ 09.23(일) | 워싱턴D.C. ⇨ 인천 | | ∙귀국 |
7. 주요 출장 결과: 파일첨부
- 다음글
- 일본 현단위의 귀농·귀촌에 관한 사업 및 지역활성화와의 연계실태 및 사례조사
- 이전글
- 캐나다 모델림(Model Forest) 및 지역임업(Community Forest)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