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WTO 농업협상과 우리나라의 개도국 지위

2002.02.01 35179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수탁보고서(C2002-02)
  • 저자
    임정빈, 이재옥
  • 등록일
    2002.02.01
  • 연구주제
    국제농업.
목차

목 차
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범위와 방법 2
제 2 장 국제기구에서의 개도국 분류 상황 4
1. 일반현황 4
2. 주요 국제기구의 개도국 분류기준과 현황 7
2.1. 국제연합(UN) 7
2.2. GATT/WTO 8
2.3. IBRD/IMF 12
2.4. OECD 13
2.5. FAO 15
2.6. 기타 16
3. 시사점 16
제 3 장 개도국지위 결정 기준의 변화동향 18
1. 고전적 결정기준 18
2. 현대적 결정기준 19
2.1. 현대적 결정기준의 도입 19
2.2. 신흥공업국가(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의 등장 21
2.3. 산업별?부문별?품목별 개도국지위결정의 필요성 22
2.4. GSP와 개도국지위 24
3. 시사점 25
제 4 장 한국의 개도국 지위와 관련한 여건변화 28
1. 국내외 여건변화 28
2. 우리나라의 개도국지위와 관련된 주요 지표의 검토 30
2.1. 개요 30
2.2. 경제적 지표 31
2.3. 비경제적 지표 34
2.4. 우리나라 농업여건의 낙후성 41
3. 시사점 44
제 5 장 우리나라의 OECD 가입과 개도국지위 46
1. OECD 가입과 개도국지위와의 관계 46
2. 우리나라의 OECD 가입과 개도국지위 48
제 6 장 GATT 및 WTO체제에서 개도국지위와 특별대우 51
1. 개도국 우대조치의 배경과 법적 지위 51
2. GATT 체제에서 개도국 우대조치 54
2.1 개요 54
2.2. GATT 제18조 55
2.3 GATT 제4부 56
2.4 권능부여조항 57
2.5 일반특혜관세제도 59
3. WTO 체제에서 개도국에 대한 우대조치 60
3.1 개요 60
3.2 상품무역협정상의 특별대우규정 61
3.3 서비스무역일반협정상의 특별대우규정 68
3.4 지적재산권협정상의 특별대우규정 69
3.5 분쟁해결협정상의 특별대우규정 71
3.6 무역개발위원회 72
4. WTO의 개도국 분류기준에 관한 논의동향과 전망 72
제 7 장 개도국지위 확보를 위한 대응방향 76
1. 국제사회 및 국제기구의 일반적 평가 76
2. UR 이후 경제 상황 및 농업부문의 여건변화 77
3. OECD 가입과 개도국지위 관련 대응논리 79
4. 주요국과의 공조체제 구축 및 설득 노력 80
5. 조속한 국내 대응체제 마련 82
[부록 1] 환경관련 국제협약에서의 한국의 개도국지위 83
[부록 2] OECD에서 논의된 우리나라 개도국 지위문제(요약) 84
[부록 3] 우리나라 개도국 지위관련 OECD 문서 원문 해석 93
[부록 4] 다자체제하에서 최빈개도국 분류현황과 시사점 113
참 고 문 헌 137

요약문

저자정보
임정빈Lim, Jeongbin
일용직
소속: 연우회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임정빈Lim, Jeongbin
일용직
소속: 연우회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35179
  • 다운로드
    102
다음글
주요국의 WTO 농산물협상 제안서 분석 및 대책 수립
이전글
미국과 일본의 농업소득안정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