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중국의 농산물 수급과 생산구조

목차
목 차
제 1 장 농산물 수급균형에 관한 연구1
1. 건국 이후
50년간 주요농산물의 수급상황에 대한 회고와 현황 분석1
2. 주요 농산물에 대한
수요예측6
3. 농산물의 생산량 예측16
4. WTO가입이 주요
농산물의 수급균형에 미칠 영향29
제 2 장 중국 도시와 농촌 주민의 축산품 소비 연구
1. 조사 방법 구상 및 표본 특징33
2. 축산품 소비 총량과
구조44
3. 도시주민의 축산품 소비행위와 요인분석56
4.
농촌주민의 축산품 소비행위와 요인분석62
5. 축산품 소비예측66
6. 결론과 정책개념74
제 3 장 동북 3성의 수도작 현지 조사 결과
1. 중국 쌀 수급과 동북 3성의 자포니카 쌀의 생산가능성78
2. 요령성 농업과 수도작 지대
87
3. 길림성 농업과 수도작 지대 101
4. 흑룡강성
농업개황과 북한계 쌀107
제 4 장 중국 동북지역(東北地域) 쌀
생산상황
1. 똥뻬이지역 메벼 생산잠재력
분석112
2. 벼 주산지 상황116
3. 벼 경작
주요품종연구125
4. 똥뻬이지역 메벼생산비용 개괄129
5.
똥뻬이지역 벼의 가격변화추세134
6. 쌀 생산현황 및 전망140
7. 똥뻬이지역 벼 생산에 있어서의 주요과제150
제 5 장 흑룡강성 국유농장의 쌀생산 실태
1. 흑룡강성의 국유농장152
2. 증대의 외길을 걷는 녹색식품
158
3. 수출확대를 노리는 신화농장ㆍ신면정미가공유한공사164
제 6 장 흑룡강성 국유농장의 도작경영
1. 3강
평원에서 논개발172
2. 대형 도작경영177
3. 저임금의
고용노동력179
4. 타작물보다 높은 쌀소득182
제 7 장 MMA 수입쌀에 관한 동향
1. 쌀
관세화와 MMA184
2. SBS제도라는 것은186
3.
일본제안197
4. WTO협상을 향해200
제 8 장 중국 산동성 채소단지 형성과 대일 채소수출
1. 머리말203
2. 산동성 채소생산의 역사적 전개과정 204
3. 채소산지의 패턴구분과 산지간 관계에 대해서 208
4. 산동성 채소 대일수출산지
분포211
5. 산동성 채소산지 형성조건에 관한 실증적 분석
213
6. 채소산지 존립문제점 219
7. 맺음말
223
제 9 장 산동성의 채소 유통체제의 조직화와 대일 채소
수출
1. 채소산지에 있어서 유통체제 조직화의 필요성과 그 정의
224
2. 유통체제의 조직화현상과 문제점 225
3. 수출채소의
유통단계별 수매금에 관한 고찰232
4. 맺음말 232
제 10 장 중국 산동성(山東省)의 채소산업
발전현황
1. 산동성 채소생산의 발전현황234
2. 산동성 채소 유통체계 현황244
3. 산동성 채소산업 발전의 중점 및
추세247
4. 대표적인 산동성 채소산업 발전 지역-壽光市와 金鄕縣-253
제 11 장 중국 산동성의 대 한국 수출채소 생산기지 및
수출경로
1. 중국 채소산업의 현황261
2.
중국산동성의 채소생산의 현황268
3. 산동성 채소의
유통체계274
4. 산동성 수출채소 생산가공 기지 280
5.
정부의 농업조직기구 및 산동성 채소수출 경로 293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5818
-
좋아요0
-
다운로드1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중국 농업의 국제화와 발전과제
- 이전글
- 중국의 사회·경제구조와 농업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