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경제사회 발전과 농림수산업의 역할 변화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식량생산이 부족하던 1970년대까지는 농업은 식량생산을 위한
농업으로서 그 중요성에 의문이 제기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 외환사정이 호전되고, 국제환경이 바뀌면서 농업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크게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농산물 무역자유화의 압력이
GATT체계를 통하여 강하게 밀어닥치고 있는 커다란 전환점에서 과연
국내 농업이 보호의 벽속에서만 성장·발전할 수 있는가에 대해 많은
의문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식량공급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경제효과까지도 포함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농업의 역할을
제조명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내용
(1) 먼저 한국 농업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을 제조명하기
위해 세계 농업의 변혁, 교역질서 변혁, 세계 농업정책 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2) 농산물가격의 사회후생효과, 농업부문의 국내 자본형성 기여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농업의 역할 변화를 파악하고 경제발전단계에서
농업에 기대되는 역할을 발전론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3) 세계 농산물시장의 불안정성, 기후 변동, 인구 증가 등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요인들을 검토함으로써 식량의 공급측면에서
농업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4) 마지막으로 농림수산업의 외부경제효과를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체계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농업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3. 연구결과 요약
(1) 한국에서도 농업의 역할은 식량안보기능, 고용기능과
더불어 외부경제효과의 중요성이 점차 더 중요해질 것이다. 이것은
농업부문을 시장경제의 논리에만 맡기는 경우 시장 실패가 일어날
수밖에 엾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업의 외부경제효과는 다음과 같다.
(2) 농림업의 자원보존 기능을 총괄하면 다음과 같다.
양
價額(10억원)
비고(일본, 10억)
강수 저류기능 산림
경지
340∼450(억M/T)
23∼30(억N/T)
3,040∼4,590
940
1,610∼3,680
850
지하수 함양기능 경지
1OO(억M/T)
토양 보존기능 산림
경지
1,953㎥
3,781∼6,220
2,320∼5,570
100
환경 보존기능
(대 기 정 화) 산림
경지
(수질정화) 산림
(폐기물정화) 경지
230(억 N/T)
2,113∼15,725
4,873∼11,440
10,850
140
계 산림
경지
8,934∼26,535
940
8,803∼20,690
11,940
시민농원 일 본
독 일
영 국
프랑스
화 란
농촌공원 미 국
영 국
농가민박 독 일
480평 규모
3OO㎡
330㎡
200㎡
220㎡
3,487지구
80만개
50만 회원
17만 회원
7만 회원
147개
19,600호
호당 675박
(4) 비록 현재 세계 곡물시장은 과잉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불안은 도리어 높아질 우려도 있다,
① 세계 곡물시장은 지난 1980년 사이에 6번의 대파동을
경험하였다.
② 기후의 온난화현상으로 인하여 단수의 불안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③ 세계 인구의 증가는 연평균 1.7%를 유지할 것이다.
④ 새로운 농정사상이 등장하면서 휴경면적이 증가하고, 저투입,
조방화 농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세계 농산물 생산을 불안하게 할
우려가 있다.
⑤ 세계 곡물시장은 새로운 질서가 확립되지 않는 한 협소성과
독점성, 그리고 비탄력성 때문에 작은 변동에도 큰 가격 파동을
일으킨다.
⑥ 현재 40세가 지난 중고령 농업 취업자가 자연 은퇴할 때까지는
이들에게 안정된 고용의 장을 제공하여야 하고, 또 교육투자의 형태로
인적 자본형성에도 계속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5) 이와 같이 농업은 단순히 농산물을 생산하는 기능 이외에
다양한 외부경제효과가 있고, 외부경제효과는 산업화가 성숙단계에
이를수록 더욱 더 중요해진다는 사실에 유의하여 농정방향을
수립하여야한다. 첫째, 농업이 가지고 있는 외부경제효과를 고려하여
농업부문에 대한 정부의 지원수준이 결정되어야 한다. 둘째,
농업부문이 가지고있는 외부경제효과는 생산규모와 생산방법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농업정책은 외부경제효과의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여 그 효과가 최대화 될 수 있는 생산규모와 생산방법을 지원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세계농업은 재편기에 접어들어 불안정이
대단히 높다. 또한 아직도 농업은 대안이 없는 중고령 농업취업자에게
고용의 장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부파동에 대비한
완충능력을 갖고, 고용의 장으로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개방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4. 연구결과의 활용
한국 농업이 식량공급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경제효과까지도 포함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농업의 역할 변화를 제조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체계 유지를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5110
-
좋아요1
-
다운로드1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부문 거시계정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이전글
- 축산물 도매시장과 도축장의 적정립지와 운영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