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축산 관측모형 개발

목차
1.연구목적
양축농가의 경영계획 수립과 유통 관계자들의 축산물 마아케팅활동,
그리고 정부와 축산관련기관의 수급계획 및 축산정책의 수립에 유용한
관측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 나라의 축산관측사업실태를 분석하고,
최근까지 발표된 각종 통계자료를 이용한 관측모형을 설계하고,
계측결과를 설명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연구내용
(1) 농업관측과 축산관측 현황
- 농림수산부의 농업관측과 축협의 축산관측사업의 현황조사
- 축산관련 시계열 자료의 현황 분석
(2) 분기별 축산관측모형 개발
- 인과분석에 의한 분기별 소·돼지부문의 관측모형 설계와 추정
- 시계열 자료분석에 의한 가격 예측방안
(3) 미국과 일본의 농업과측제도
(4) 축산관측제도의 개선방향
3. 연구결과 요약
(1) 축협의 축산관측사업
1980년부터 시작한 축협의 축산관측사업은 1991년부터 축종
별로 시기를 달리하여 실시하고 있다.
종속 변수
SSE
M[SE
Root MSE
{R }^{2 }
Adj
{R }^{2 }
증식 두수 BCB
도축두수 SBM
도매가격 PBW
큰소가격 PCB
송아지가격 PCC
1인당 공급량 DBF
62769
13657
4616825
160598
129606
86371
3138.5
650.3
209855.7
6691.6
5400.2
4318.6
56.02192
25.50134
458.10010
81.10241
73.48628
65.71575
0.6533
0.8351 0.8276
0.9470
0.9484
0.8769
0.5667
0.8037
0.804]
0.9448
0.9162
0.8461
증식두수
BCBT = -230.98 + 0.1034PCCt-4 + 0.1530NFCt +
(-2.97) (1.98) (3.94)
90.25DM1 + 143,82DM2 + 96.90DM3
(2.89) (4.55) (3.00)
수소 도축두수
SBMt = 89.41 - 0.1152PCBt-4 + 0.2959NMBT + 0.067LWt-4 - 26.03DN13
(1.26) (-4.76) (5.23) (1.65) (-2.17)
암소 도축두수
SBFt = 70.76 - 0.2239PCCt-1 + 0.0123LWt-1
(3.90) (-7.75) (4.39)
쇠고기 공급량과 1인당 공급량 정의식
SBCt = SBMt + SBFt
QBFt = 9348.3 + 108.4×SBCt
DBFt = QBFt × 1000/POPt
여기서, SBCt : t분기 소도축두수
QBFt : t분기 국내산 쇠고기 공급량(M/T)
DBFt : t분기 1인당 쇠고기 공급량(g)
( )내는 t치임.
쇠고기 도매가격
PBWt = 2517.79 - 2.1066DBFt + 7.5494Yt + 0.2728PBWt-2
(1.55) (-2.05) (3.80) (1.47)
큰소 가격
PCCt = -290.61 + 0.3272PBWt
(-3.56) (20.70)
송아지 가격
PCBt = -503.71 + 0.8867PCCt
(-8.46) (21.00)
돼지판측모형함수의 통계치(1984.3∼1991.6)
종속 변수
SSE
MSE
Root MSE
{R }^{2 }
Adj
{R }^{2 }
증식두수 BIP
모돈 사육두수 NHF
도축두수 SHG
도매가격 PHW
돼지가격 PHG
963187
8518
289007
982199
283
43781.2
405.6
13136.7
44645.4
11.8
209.23966
20.13984
114.61534
211.29641
3.43222
0.8006
0.9706
0.9407
0.7392
0.9770
0.7734
0.9650
0.9326
0.7036
0.9761
증식두수
BIPt = -89.04 + 3.3961NHFt + 216.66DM2 + 323.84DM3
(-0.42) (8.74) (2.21) (3.14)
모돈 사육두수
NHFt = 88.56 + 1.1587PHFt-1 - 0.0429PHFt - 0.0075LAVt-1 + 1.1813NHFt-1
(0.56) (3.47) (-1.87) (-3.68) (14.23)
돼지 도축두수
SHGt = -1590.95 + 0.4012NHGt + 0.0406LWt + 0.2362PFHt
(2.35) (11.32) (4.36) (1.97)
돼지고기 공급량과 1인당 공급량 정의식
DPKt = (SHGt×90kg)/POP
돼지고기 도매가격
PHGt = 2696.9 - 0.6983DPKt + 7.4195Yt - 0.2921PHWt-3
(6.19) (-7.82) (5.70) (-2.29)
비육돈 판매가격
PHGt = 1.84+0.0565PHWt
(0.48) (31.94)
(3) 외국의 농업관측
- 미국의 농업관측은 농업경제정보시스템에서 세계농업전망위원회
(World Agricultural Outlook Board)의 주도로 세계 각지의 농업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농업경제국(ERS)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세계의
품목별 수급균형표를 작성하고 있으며, 통계분석에 따른 추정 결과는
참고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미국 농무성 경제성정보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USDA''S ECONOMIC INTELLIGENCE SYSTEM: AGENCY FUNCTION
NATIONAL AG.
STSTISTICS SERVICE
--------------------
AG. STATISTICS BOARD
Estimates U.S.
Production Stocks
WORLD A.G.
OUTLOOK BOARD
--------------------
Chairs Interagency Committees
Develop Supply/Demand Estimate
Conducts Weather Analyses
Coordinate Remote Sensing
Clear USDA Outlook Reports
FOREIGN AG. SERVISE
-------------------
Compiles Information
on World Crops
----------
World Crop and Trade
Estimates
USDA/NOAA Joint AG.
WEATHER FACILITY
---------------------
Monitor Global WEAHER
--------
Asses Impact Crops
ECONOMIC RESEARCH
SERVICE
-----------------------
Forecast U.S., Global
Commodity Outlook
-----------
Country/Regional
Assessment
AG. STABILIZTION
CONSERVATION SERVICE
--------------------
Administer Analyses
Farm Programs
- 일본의 농업관측은 대신관방 조사과에서 장단기 관측안을
작성하고 이를 농림수산통계관측심의회에서 심의하고, 장기관측안은
농정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안은 농업관측세명회를 통해
홍보하고있다.
대만은 농촌부홍회(JCRR)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축산물은
돈육에 한하여 돈육공급과 수요량예측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4) 축산관측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서는 각종 통계자료가
신속히 작성 배포되어야 하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인적 자원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9559
-
좋아요0
-
다운로드14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UR 이후 농산물 무역정책의 방향
- 이전글
- UR 이후 농가소득 보상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