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일본의 대규모 수도작경영의 실태와 정책과제

목차
第 1 章 序論
第 1 節 硏究의 目的
第 2 節 硏究의 方法
第 2 章 日本 稻作의 現況
第 1 節 生産 現況
1. 農家數
2. 米穀의 需給 現況
第 2 節 耕作規模와 所有 및 賃貸借 現況
1. 耕作 規模
2. 所有 및 賃貸借 現況
第 3 節 勞動力 需給 現況
1. 農業勞動力 保有 狀態
2. 稻作의 作業實施 狀況
第 4 節 營農資料 및 農業機械化 現況
1. 肥料
2. 農藥
3. 品種
4. 農業機械
第 5 節 生産費 및 生産性 現況
1. 生産費
2. 收益性 및 生産性
第 3 章 最近의 稻作經營의 動向
第 1 節 經營規模의 變化
1. 經營規模의 槪念
2. 經營規模의 變化過程
3. 日本의 經營規模 擴大過程의 特徵 - 韓國과의 比較
第 2 節 生産費構造의 變化
1. 日本의 生産費調査의 改正 內容
2. 水稻作 生産費의 動向
3. 耕作規模別 生産費의 動向
4. 地域別 生産費 動向
第 3 節 品質과 流通過程의 變化
1. 米의 流通經路
2. 日本의 米品質과 流通
第 4 節 經營組織과 經營形態의 變化
1. 經營組織別 農家數의 動向
2. 經營形態의 變化過程
第 5 節 最近의 經營事例
1. 信望을 모아 20ha를 基盤으로 低코스트의 쌀, 보리, 콩生産 一石川縣 北野一卽
2. 手稻農業 10ha에 挑戰한다 : 石川縣 東田 郁三
3. 大型 受託經營의 展開와 共同利用組織 : 富山縣 礪波市
第 4 章 日本 稻作經營의 展望
第 1 節 稻作經營의 2分化
1. 低코스트에 의한 競爭力 確保와 大規模 經營의 展望
2. 코스트를 考慮하지 않는 自給營農과 趣味營農의 展開
第 2 節 農地利用 構造의 多樣化
1. 日本의 農地法制와 農地流動化
2. 所有權 移動의 動向과 展望
3. 利用權 設定의 動向과 展望
4. 作業 受委託에 의한 農地利用의 展望
第 3 節 經營形態別 經營의 展望
1. 大規模 經營體의 擴大
2. 集落營農 및 共同經營의 多樣化
3. 受委託經營의 擴散
第 5 章 結論
附錄 1. 近畿地域의 經營類型
附錄 2. 近畿地域의 優良經營 事例
附錄 3. 石川縣의 目標 農業經營類型 및 事例
附錄 4. 集落機能에 의한 논의 利用調整 : 靜罔縣 小笠郡 小笠町 河東의 事例
1. 靜罔縣 河東地區의 農業槪況
2. 集合事業의 推進
3. 成果의 槪要
4. 推進上의 問題點
5. 今後의 方策
附錄 5. 地域別 農業關係基礎 統計
1. 近畿地域
2. 東海地域
3. 北海道地域
4. 東北地域
5. 北陸地域
6. 關東地域
參考文獻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439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식품수급표 1992
- 이전글
- 토지이용형 농업의 경영체 확립에 관한 연구: 수도작 대농경영의 성립발전을 위한 경영형태론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