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관측 품목별 표본농가 재설계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범위와 방법 3
4. 선행 연구 5
제2장 품목별 표본 현황과 문제점
1. 현행 표본설계 방법 7
2. 관측 대상 품목별 표본 현황. 8
3. 표본자료 분석 결과 12
4. 조사 결과 추정 방법 15
5. 표본농가의 관리 19
제3장 표본설계를 위한 이론적 검토
1. 표본추출법 종류 20
2. 왜도가 심한 모집단에 대한 표본설계 .24
3. 네이만의 최적할당법에 의한 표본 추출 방법 25
4. 절사법에 의한 표본 추출 방법 27
5. 네이만 할당법과 절사법 비교 32
제4장 품목별 표본설계
1. 모집단 정의 34
2. 표본추출 틀 35
3. 품목별 층 결정 41
4. 네이만의 최적 할당 33
5. 모집단이 없는 품목의 표본설계 47
제5장 추 정
1. 특정 지역의 총계 및 평균 추정 5
2. 특정 품목의 총계 및 평균 추정 56
3. 특정 품목의 특정 지역 총계 및 평균 추정 58
제6장 표본 관리
1. 표본관리의 필요성 61
2. 오차관리 62
3. 무응답 관리법 64
4. 표본농가 관리 67
참고문헌
부 록
1. 품목별 표본 크기
2. 돼지 사육농가의 표본설계 과정
요약문
1. 연구의 필요성
현행 관측 품목별 표본설계는 1995년 농업총조사와 1998년 시군별 재배면적자료를 이용하여 5년전에 시행된 것으로 재배농가의 변화, 재배면적 및 작형변화, 주산지 이동, 재배품목, 축종의 변화 등 모집단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음. 따라서 최근의 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조사모집단을 정의하고, 모집단내에서 품종과 작형이 고려된 표본을 재설계할 필요함.
또한 현행 표본설계는 채소 10개 품목, 과일 6개 품목, 과채 6개 품목, 축산 5개 축종으로 구분하여 총 27개 품목(축종)별로 표본이 설계되었음. 그러나 관측정보 수요자들이 품목을 세분하여 품종, 작형별로 구체적인 정보를 요구하고 있어, 27개 품목(축종)을 48개 품종(축종) 및 작형별로 표본을 재설계할 필요함.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각 품종?축종별로 최근 모집단 자료를 바탕으로 표본설계를 시행하여 추정치의 표본오차를 줄이고, 신뢰수준을 향상시키며, 변동계수를 줄여서 정도 높은 통계량을 생산하는 것이 목적임.
농가의 향후 재배면적 변화, 농가수의 변화, 주산지 이동, 품종?축종의 변화가 있을 때, 조사모집단을 보강하여, 새로운 조사모집단을 설정하고, 관측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농업관측정보센터 품목 담당자 스스로 표본을 재설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3. 연구 내용과 방법
품목별 현행 표본의 통계치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했다. 표본 재설계에서는 품목(축종)을 품종(축종)으로 세분하여 분류하였으며, 재배면적의 변화, 농가 수의 변화, 주산지 이동 등을 고려하여 모집단을 정의하고, 모집단의 분포에 따라 적합한 표본선정 방법을 찾았음.
농업총조사와 같은 모집단이 있는 품목과 모집단이 없는 품목(축종)을 구분하여 분석방법을 달리 하였음. 모집단이 있으면서 왜도가 큰 것은 Neyman 할당법과 절사법을 이용하였고, 모집단이 없이 표본농가만 있을 경우 부스트랩 방법을 이용하였음. 표본의 신뢰도를 높이고, 표준오차를 줄이기 위해 모집단의 층을 결정하고, 층별로 표본을 할당함.
설계된 표본을 이용하여 조사된 내용을 추정하는 방법과 표본관리를 위해 표본농가의 무응답 관리, 표본오차관리 그리고 비표본오차관리 방법을 제시하였음.
4. 연구결과
품목별, 품종별, 작형별, 축종별, 시도별로 표본을 선정했음. 표본은 48개 품목(축종)으로 세분하고, 신뢰수준 95%, 허용오차 ±5~±7%를 기준으로 표본을 재설계한 결과 10,961로 기존 표본수 10,326 보다 6.1% 증가하였음.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1654
-
좋아요0
-
다운로드5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WTO/DDA 협상타결이 인삼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경쟁력 제고 방안
- 이전글
- 미국 사과산업의 동향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