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WTO/DDA 협상타결이 인삼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경쟁력 제고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보고서 구성 2
3. 선행연구 검토 3
4. 보고서 구성 4
제Ⅰ부 WTO/DDA 농업협상의 영향과 인삼산업의 발전 방향 7
제2장 인삼산업의 특성과 위상 9
1. 고려인삼의 특성 9
2. 우리나라 인삼산업의 위상 17
3. 인삼산업 관련 주요제도의 변천 19
제3장 DDA 농업협상의 동향과 파급영향 분석 27
1. DDA 농업협상의 동향과 전망 27
2. DDA 농업협상에 파급영향 분석 34
3. 인삼산업의 중장기 전망 46
제4장 인삼산업발전 방향과 정책과제 48
1. 인삼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 변화 48
2. 인삼산업정책의 추진실태와 문제 51
3. 개방체제하의 인삼산업의 발전방향 53
4. 인삼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59
제Ⅱ부 인삼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 71
제5장 인삼소비 실태와 소비촉진 73
1. 도시가계의 인삼 및 소비실태 현황 73
2. 소비자의 인삼 및 인삼제품 소비실태 조사결과 79
3. 소비자 특성 분석 및 수요 전망 98
4. 인삼의 안전성 확보 대책과 소비촉진 방안 105
제6장 인삼생산 실태와 생산비 절감 107
1. 인삼의 생산 현황 107
2. 인삼 생산비 및 수익성 구조분석 119
3. 생산농가의 경작관행과 경영애로 요인 조사결과 128
4. 인삼생산의 경쟁력 제고방안 133
제7장 인삼 가공산업의 실태와 육성 145
1. 인삼가공산업의 현황 145
2. 인삼 제조업체의 운영실태 조사 분석 155
3. 농협 인삼조합의 가공사업 실태 168
4. 인삼가공산업의 문제점과 육성 방안 174
제8장 인삼유통 실태와 구조개선 182
1. 인삼 및 인삼제품의 유통구조 182
2. 인삼유통 규격?검사 실태 및 가격결정구조 195
3. 인삼 산지 및 소비지 시장의 유통업체 판매 실태 201
4. 인삼유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4
제9장 인삼수출 실태와 확대 방안 218
1. 우리나라의 인삼 수출 동향 218
2. 인삼 수출관련 지원정책 실태 222
3. 고려인삼의 국제 경쟁력 224
4. 인삼수출의 문제점과 확대 방안 230
제10장 인삼수입 실태와 관리 방안 237
1. 인삼수입 동향 237
2. 인삼의 수입가능성 분석 241
3. 수입인삼 유통의 문제점과 관리 방안 251
제11장 인삼산업 관련 제도개선과 추진행정체계 정비 256
1. 인삼 관련제도의 실태 256
2. 인삼 관련제도의 문제 264
3. 인삼산업 관련제도의 개선방안 269
제12장 인삼산업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 건의 277
1. 인삼이력제도의 도입 277
2. 청정인삼생산특구의 조성 279
3. 전문인삼경영체 육성 280
4. 인삼 클러스터의 개발 281
5. 인삼자조금제도의 도입 282
6. 생산자단체의 가공?유통사업 활성화 284
7. 인삼검사제도의 개선 285
8. 고려인삼연구센터의 설치 286
9. 인삼 관련제도 개선과 추진 행정체계 정비 287
부 록 291
1. 인삼재배의 생산비 절감 대책 293
2. 청정인삼 생산기반 조성 316
3. 수삼품질 경쟁력 제고 방안 328
4. 고려인삼의 효능 및 생리활성 339
5. 한국 인삼제품의 개발현황과 전망 377
6. 인삼자조금제도의 도입 401
참고문헌 411
요약문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 of WTO/DDA agreement on Korea's ginseng industry, to suggest its developing direction, and to introduce alternatives for raising its competitiveness.
Korea's ginseng production is expected to decrease to 11,940tons and import to increase to 4,054 tons under WTO/DDA agreement by 2013. In addition, a Korea's self sufficiency rate of ginseng will be decreased to 90.4% and a number of ginseng farming household to 15,729. WTO/DDA agreement will cause severe damage to Korea's ginseng industry, if there is no special program. Assuming a government carrying plan to reduce production cost and marketing margin which will result in increasing new farming area and promoting consumer's demand, ginseng produc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o 14,202 tons and farming area to 11,089 ha, but import will decrease to 3,213 tons. A number of ginseng farming household is expected to about 12,000 tons caused from decreased farming area due to aged farmer and increased scale of economy.
Analyzing customers expected purchasing preference for fresh ginseng, "maintain current purchase level" is the highest of 63.1%, "increase purchase level" is 23.4%, but "decrease purchase" is only 3.3%. Ginseng consumption is expected to increase. Korea ginseng has relatively low price competitiveness comparing with Chinese ginseng and it is limited to reduce production cost with current small scale of production. Ginseng farming household should plant minimum 4ha to make net profit which is similar with average yearly income of urban worker. It is need to increase production scale more than 4ha.
Korea ginseng has very low price competitiveness. Korea ginseng had been sold ten times higher in price than chinese ginseng and 3 to 8 times higher than American ginseng in Hongkong ginseng market, 2001. Korea ginseng export has been rapidly decreased for this reason. Average production cost for 4-yeared Korea ginseng was Korean thousand won 10,375/10a which was 4.7 times higher than Korean thousand won 2,213/10a of Chinese ginseng. Farmer price and wholesale price of Korea undried ginseng were also 2.85 times and 4.72 times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ginseng, 2002. If a local market is expanded and tariff is lowered, there would be a potentiality to increase ginseng import.
Therefore, reducing production cost, improving local marketing system, expanding producing infrastructure, and expanding export market for Korea ginseng against imported ginseng are key resolutions to improve Korea's ginseng industry. We propose to make existing government plans - including producing high quality ginseng, promoting market flow through improvement of marketing system, maintaining brand value of Korea ginseng in oversea market, providing ground for growing industry through constant researching, and consolidating related rules and laws - into total resolution to improve Korea's ginseng industry. We also propose to build ginseng traceability system, support clean ginseng production comples, develop ginseng cluster, introduce ginseng check-off system, improve ginseng product inspection system, construct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and consolidate related rules and administration system.
Researcher: Myung-Hwan Sung, Dong-Phil Lee, Seung-Woo Ryu, Song-Soo Lim, Chul-Min Kim, Moon-Ho Park, Won-Jin Lee
e-mail Address: mhsu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3478
-
좋아요1
-
다운로드2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고려인삼 중장기 수출확대를 위한 전략방안 연구
- 이전글
- 농업관측 품목별 표본농가 재설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