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고려인삼 중장기 수출확대를 위한 전략방안 연구

2004.04.01 55056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수탁보고서(C2004-12)
  • 저자
    성명환, 이동필; 임송수; 이원진
  • 등록일
    2004.04.01
  • 연구주제
    농업생산유통.
목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과 보고서 구성 3
3. 선행연구 검토 4
제2장 인삼산업의 여건변화와 전망 6
1. 국내 인삼산업의 여건변화 6
2. WTO/DDA 농업협상의 동향과 파급영향 8
3. WTO/DDA 농업협상에 따른 파급영향과 전망 15
제3장 해외인삼시장 동향 20
1. 권역별 해외인삼시장 동향 20
2. 해외건강식품의 개발 동향 25
3. 인삼생산국의 수출 여건 비교 분석 35
제4장 고려인삼의 수출 및 국제경쟁력 실태 45
1. 인삼 수출 동향 45
2. 인삼 수출관련 지원정책 실태 49
3. 고려인삼의 국제경쟁력 52
4. 고려인삼 수출확대의 문제점 58
제5장 고려인삼 수출확대 방안 63
1. 고려인삼의 수출확대 전략 63
2. 고려인삼의 제품 및 효능차별화 방안 70
3. 해외시장 권역별 수출마케팅 방안 73
제6장 요약 및 결론 84
부록: 해외인삼시장 동향 87
제1장 중 국 89
1. 시장 동향 89
2. 수출입 동향 91
3. 경쟁 동향 94
4. 가격 동향 95
5. 생산 동향 98
6. 유통 동향 99
7. 부정유통사례 104
8. 수입거래형태 및 수출정책 105
9. 인삼제품의 안전성 관련 제도 106
10. 관세 및 기타 수입규제사항 109
11. 길림성의 무공해인삼재배기술표준 111
12. 길림성의 인삼관련 정책 118
13. 중국의 녹색식품제도 121
제2장 홍 콩 124
1. 수출입 동향 124
2. 가격 동향 126
3. 유통 경로 129
4. 인삼수입 규정 131
5. 홍콩 시장의 개척 방법 132
제3장 대 만 135
1. 인삼제품의 시장 성향 135
2. 인삼제품의 수입 동향 139
3. 인삼제품의 수입관세 140
4. 인삼제품의 소비자 가격 140
5. 인삼제품의 유통 현황 142
6. 인삼제품 관련제도 142
제4장 일 본 143
1. 시장 동향 및 수요 전망 143
2. 수출입 동향 144
3. 생산 동향 147
4. 수입관리제도 148
5. 국제경쟁력 및 가격 동향 151
제5장 베트남 154
1. 인삼제품의 시장 동향 154
2. 인삼제품의 수출입 동향 155
3.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 157
4. 인삼제품의 수입관리제도 159
5. 인삼제품의 불법유통 159
제6장 태 국 161
1. 인삼제품의 시장 동향 161
2. 인삼제품의 선호도 162
3. 인삼제품의 수입 및 가격 동향 163
4. 수입관리 및 안전성관련 제도 164
제7장 인도네시아 166
1. 인삼제품의 시장 동향 166
2. 인삼제품의 소비 경향 167
3. 인삼건강제품의 생산 동향 168
4. 인삼제품의 수입 동향 170
5.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 171
6. 인삼제품의 유통경로 172
7. 인삼수입관련 체계 및 규정 173
제8장 미 국 175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 전망 175
2.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 177
3. 인삼제품의 수출입 동향 180
4. 인삼제품의 국제경쟁력 동향 185
5. 인삼 생산 동향 187
6. 인삼제품의 유통구조 188
7. 인삼제품의 수입관리제도 190
8. 인삼제품의 안전성 관련제도 194
9. 위스콘신 인삼위원회 195
제9장 캐나다 197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 전망 197
2.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 198
3. 인삼제품의 수출입 동향 199
4. 인삼제품의 국제 경쟁력 201
5. 인삼 생산 동향 202
6. 인삼제품의 유통구조 203
7. 인삼제품의 수입관리제도 204
제10장 호 주 205
1. 인삼시장 동향 205
2. 인삼생산 현황 207
3. 인삼가격 동향 209
4. 유통 구조 211
5. 인삼수출입 동향 211
6. 관세 및 수입 규제사항 213
제11장 멕시코 214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 전망 214
2.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 216
3. 인삼제품의 수입 동향 217
4. 인삼제품의 유통구조 217
5. 인삼제품의 수입관리제도 218
6. 인삼제품의 수입관련제도 220
제12장 칠 레 223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 전망 223
2. 인삼제품의 수입 및 가격 동향 223
3. 인삼제품의 유통구조 225
4. 인삼제품의 수입관리제도 225
제13장 스위스 227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 전망 227
2. 인삼제품의 수입 및 가격 동향 228
3. 인삼제품의 유통구조 229
4. 인삼제품의 수입관리제도 230
제14장 독 일 231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 전망 231
2.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 233
3. 인삼제품의 수출입 현황 234
4. 인삼제품의 유통 실태 235
5. 인삼제품의 수입관리제도 236
6. 인삼제품의 안전관리 238
제15장 이탈리아 240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전망 240
2. 인삼제품의 수입 및 가격 동향 241
3. 인삼제품 관련제도 243
제16장 프랑스 244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 동향 244
2. 인삼 생산 동향 248
3. 인삼제품의 수입 및 수입 동향 249
4. 인삼제품의 유통구조 251
5. 인삼제품의 수입관련 제도 252
제17장 인 도 254
1. 인삼제품 관련 현황 254
2. 인삼관련제품의 수출입 및 가격 동향 255
3. 인삼제품의 관련제도와 관세율 257
제18장 이집트 258
1. 인삼제품의 선호도 및 수요전망 258
2. 인삼제품의 수입동향 259
3.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 260
4. 인삼제품의 유통구조 261
5. 인삼제품의 수입관리 제도 261
6. 인삼제품의 안전성 관리제도 262
참고문헌 264

요약문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 situation of world ginseng market and to build mid and long-ter strategies for expanding Korea ginseng export.
World ginseng production is estimated to 70,000 tons worldwide in 2001. China produces 52,168 tons, 75% of total production and Korea produces 13,215 tons, 19% of total production. The USA and Canada produces 2,052 tons and 2,483 tons, respectively. Korea ginseng has very low price competitiveness. Korea ginseng had been sold ten times higher in price than chinese ginseng and 3 to 8 times higher than American ginseng in Hongkong ginseng market, 2001. Korea ginseng export has been rapidly decreased for this reason. Average production cost for 4-yeared Korea ginseng was Korean thousand won 10,375/10a which was 4.7 times higher than Korean thousand won 2,213/10a of Chinese ginseng. Farmer price and wholesale price of Korea undried ginseng were also 2.85 times and 4.72 times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ginseng, 2002. If a local market is expanded and tariff is lowered, there would be a potentiality to increase ginseng import.
Korea ginseng is famous for its high quality in oversea market but it tends to lose its marketshare due to weak price competitiveness. When we analyze Korea ginseng's competitiveness based on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Korea's ginseng industry has comparative advantage and has specialized on trade. It is also revealed that net export of Korea ginseng is relative large and it takes large stakes in the market, but it needs to make a counter plan to constantly maintain longrun export comparativeness against imported ginseng. Export strategy - for example, product differentiation - is also needed to have a competitiveness against Hongkong, China and Canada. We propose differentiation strategies for Korea ginseng including export plan for each markets, diversifying export through analysis of importing conditions for major ginseng importing country
Researcher: Myung-Hwan Sung, Dong-Phil Lee, Song-Soo Lim, Won-Jin Lee
e-mail Address: mhsung@krei.re.kr

저자정보
성명환Sung, Myunghwan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성명환Sung, Myunghwan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55056
  • 다운로드
    66
다음글
인삼 산업의 비전과 정책 대안
이전글
WTO/DDA 협상타결이 인삼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경쟁력 제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