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사유재산피해 지원방안 개선에 관한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연구의 검토 3
3. 연구 범위와 내용 10
4. 연구방법 11
제2장 우리나라의 재해 발생 현황
1. 재해의 정의와 분류 14
2. 우리나라의 재해 발생 현황 16
3. 재해 발생 전망 22
제3장 재해대책의 실태와 문제점
1. 개별 경영주체의 위험대비 방법 24
2. 국가적 재해 대책 28
3. 재해대책의 실태와 문제점 52
제4장 외국의 재해대책
1. 미국 87
2. 일본 104
3. 유럽 140
제5장 사유재산피해 지원 개선방안
1. 사유재산피해 지원의 기본방향 149
2. 사유재산피해 지원 개선방안 154
3. 전제조건 178
참고문헌 182
부 표 185
부 록 : 1. 시·군 재해업무 담당자 조사표 203
2. 자연재해대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수산분야) 209
Abstract 278
요약문
1. 연구 과제명
사유재산피해 지원방안 개선에 관한 연구
Ⅱ.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ㅇ우리나라의 사유재산피해에 대한 복구비 지원제도는 풍수해대책법(1967)과 농업재해대책법(1967)이 제정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음.
-기본 취지는 재해로 인한 이재민 구호, 즉 “기아”의 해결에 있었음.
ㅇ이후 경제발전과 산업의 다양화가 진전되면서 지원내용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개정되면서 지원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지원수준도 상향 조정되어 왔음.
ㅇ각종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의 기본 책무이기는 하지만, 사유재산피해에 대한 재해복구비 지원의 범위와 수준을 계속 확대하는 것은 재정부담이나 부문간 형평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음.
ㅇ사유재산피해에 대한 현행 지원체제가 바람직한지, 지원수준은 적정한지, 기타 개선할 점은 없는지를 점검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획기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ㅇ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재해복구지원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파악
- 재해복구지원제도의 장기 방향 제시
- 재해복구비 지원 개선 방안 마련
Ⅲ. 주요 연구 내용
ㅇ우리나라의 재해 발생 현황
- 자연재해의 유형
- 재해 발생 현황
- 재해 발생 전망
ㅇ재해대책의 실태와 문제점
- 경영주체의 위험대비 방법
- 국가적 재해대책의 필요성
- 재해대책의 유형과 장단점
- 재해대책의 실태와 문제점
ㅇ외국의 재해대책
- 미국
- 일본
- 유럽
ㅇ사유재산피해 지원 개선 방안
- 재해대책의 기본방향
- 사유재산피해 지원 개선 방안
- 전제 조건
Ⅳ. 주요 연구 결과
ㅇ현행 재해복구비 지원대책의 문제점은 ① 현재의 재해복구비 지원 규모는 이미 생계구호(지원) 수준을 넘어섰다는 점, ② 재해지원내용이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농어가간?작목간?경영규모간의 형평성 및 복잡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 ③ 재해지원 항목 및 단가가 현실과 거리가 있다는 점, ④ 도덕적 해이(moral hazard)의 유발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점, ⑤ ‘선 지원’ 방식이 집행상 어려움이 있다는 점, ⑥ 항목별 규모 구분 기준이 모호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음.
ㅇ사유재산피해 재해복구비 지원방안을 개선하기 위한 기본방향으로는 ① 재해복구비 지원대책의 성격의 명확화, ② 재해지원의 형평성 제고, ③ 재해지원 기준의 객관화?효율화, ④ 자연재해보험의 도입 기반 조성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
ㅇ현행 재해복구비 지원대책의 개선방안으로는 5가지 대안을 고려할 수 있음. 제1안은 현행 재해복구비 지원대책을 보완하는 방안임. 현재 재해복구비 보조지원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대규모 농어가와 항목 및 재해지역을 포괄하여 수혜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현행 제도를 보완하는 것이임. 제2안은 피해등급을 산정하여 등급별로 재해복구비를 지원하는 방안임. 재해로 인한 피해 유형을 몇 등급으로 나누어 동일 재해등급에 대해서는 동일한 재해복구비를 지급함. 제3안은 총 피해액의 일정비율을 지원하는 방안임. 부문별 항목별로 피해액을 산정하고, 이들을 합한 총피해액에 일정한 지원율을 곱하여 복구비 지원액을 산정함. 제4안은 재해복구비 지원을 공종별로 단일화하는 방안임. 현재 공종별 규격별로 세분화하고 있는 복구비 지원을 공종별로 단일화하는 것임. 제5안은 재해구호와 재해보험을 병행하는 방안임. 현재 재해구호차원에서 지원되는 위로금, 주택복구지원, 재해구호, 생계보조 및 생계지원은 현행대로 시행하고, 생산물이나 생산관련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복구비 지원은 중단하는 대신, 자연재해보험에 가입시 보험료의 일부(예: 50%)를 국고에서 지원하여 실질적인 손실 보전이 되도록 함.
ㅇ우선 제1안을 적용하고, 장기적으로는 제5안으로 가되, 그 때까지는 제2안, 제3안, 제4안 중에서 장기적인 발전방향으로 접근하는데 적절한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안의 채택가능성에 대하여 현지에서의 철저한 검증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음.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identify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assistance scheme to private property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2) to suggest its improvement ways.
The major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ere the collection of existing related data, mail survey, interview, field observation, and 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 mean were used to organize and summarize the data.
The major problems of the current assistance scheme to private property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re: 1) The current scheme have already gone beyond the relief level; 2) The equity problem between farmers and fishermen, among crops, and among the strata of management size was generated; 3) The assistance items and unit costs are unrealistic; 4) The possibility of moral hazard outbreak is high; 5) The assistance in advance has a lot of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it; 6) The standard to classify the size among items are ambiguous.
The basic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 assistance scheme to private property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re: 1) to clear up the characteristics of assistance; 2) to improve the equity level between farmers and fishermen, among crops, and among the strata of management size; 3) to objectify and make efficient the assistance standard; and 4) to prepare the introduction of natural disaster insurance.
The major ways to improve the current assistance scheme to private property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re: 1)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urrent assistance scheme; 2) to assist according to the damage rank system; 3) to assist the fixed proportion of total damage cost; 4) to simplify the assistance scheme by grouping same kind; 5) to develop disaster relief system and natural disaster insurance at the same time.
Researchers: Choi Kyeong-Hwan, Joung Myoung-Chae, Park Dae-Shik,
Park Ju-Young
E-mail Address: kye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3675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종합자금 성과평가
- 이전글
- 한·일 FTA 체결과 임업부문의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