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개방화에 대응한 과수산업 발전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선행연구 검토 3
4. 연구내용과 방법 6
제2장 과수산업 현황 9
1. 총괄 9
1.1. 재배면적 9
1.2. 생산량 10
1.3. 생산액 11
1.4. 10a당 소득 12
1.5. 1인당 소비량 13
1.6. 수출입량 14
2. 사과 16
2.1. 국제 수급 16
2.2. 국내 수급 16
3. 배 19
3.1. 국제 수급 19
3.2. 국내 수급 19
4. 감귤 22
4.1. 국제 수급 및 교역여건 22
4.2. 국내 수급 23
5. 단감 26
5.1. 국제 수급 및 교역여건 26
5.2. 국내 수급 26
6. 포도 29
6.1. 국제 수급 및 교역여건 29
6.2. 국내 수급 30
7. 복숭아 34
7.1. 국제 수급 및 교역여건 34
7.2. 국내 수급 35
8. 식물검역여건 38
9. 유통 39
9.1. 도소매유통 39
9.2. 산지유통 및 유통조직 43
9.3. 유통조성기능 48
제3장 과수산업 국제경쟁력 54
1. 사과 54
2. 배 61
3. 감귤 68
4. 단감 73
5. 포도 79
6. 복숭아 85
제4장 시장개방화 영향과 수급 전망 91
1. 시장개방화 파급 영향 91
1.1. 재배면적 92
1.2. 생산량 92
1.3. 생산액 93
1.4. 수출입 94
1.5. 자급률 95
2. 품목별 수급 전망 97
2.1. 사과 97
2.2. 배 99
2.3. 감귤 99
2.4. 단감 102
2.5. 포도 102
2.6. 복숭아 105
제5장 중장기 비전 및 발전 목표 107
1. 중장기 비전 107
2. 중장기 목표 108
2.1. 수급 목표 110
2.2. 품목별 목표 114
2.3. 목표달성 수단 121
3. 유통부문 비전 126
3.1. 유통환경 변화 126
3.2. 21세기 유통 비전 128
제6장 과수산업 발전방안 132
1. 발전방향 132
1.1. 발전방향 설정 132
2. 발전방안 135
2.1. 고품질, 안전 과실 생산기반 마련 135
2.2. 과원 구조조정 및 생산성 향상 141
2.3. 적정재배규모의 경영체 육성 143
2.4. 수급 및 농가소득 안정 154
2.5. 유통 효율성 개선 158
2.6. 수출물량 확대 171
2.7. 가공산업 활성화 173
2.8. 소비 촉진 174
3. 정책 지원방향 181
제7장 요약 및 결론 186
참고문헌 192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3360
-
좋아요2
-
다운로드5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절임식품류에 대한 국내외 현황조사 분석
- 이전글
- 신국토 구상과 농산촌의 혁신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