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출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경영보고서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공공데이터 신청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산지유통 혁신을 위한 공동마케팅조직 발전전략
목차
요약문 vi
제 1 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선행연구 검토 4
4. 주요 연구 내용 7
5. 연구방법 8
제 2 장 산지유통 실태와 문제점 9
1. 산지유통정책자금 지원 실태 9
2. 산지유통조직 발달과정 11
3. 산지유통전문조직의 실태와 문제 14
제 3 장 공동마케팅조직 도입의 필요성 21
1.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와 거래관행 변화 21
2. 거래관행의 변화에 대응한 산지유통혁신 방향 32
제 4 장 선진국의 산지유통조직 변화 사례 45
1. 일본 이바라끼현 VFS(vegetable fruit station) 45
2. 프랑스 도를레안느(Dorleane) 47
3. 네덜란드 그린너리(Greenery) 49
제 5 장 공동마케팅조직의 개념 53
1. 공동마케팅조직의 개념 설정 53
2. 공동마케팅조직 신청 기준 설정 65
3. 공동마케팅조직 육성 추진일정 70
제 6 장 공동마케팅조직 발전전략 73
1. 공동마케팅조직의 비전 73
2. 공동마케팅조직 유형별 발전전략 74
3. 공동마케팅조직 육성 정책방향 80
4. 제도적 기반구축 86
5. 다양한 인프라 구축 및 정책 지원 88
6. 공동마케팅조직 운영방안 91
Abstract 98
참고문헌 99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rategies for marketing innovation in agricultural producing district in Korea by investigating the introduction of co-marketing fir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marketing in agricultural producing district are examined through the related information and statistics. Secondly,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co-marketing firm is discussed. Thirdly, the case studies of overseas on change of marketing organization in foreign agricultural producing district are pursued. Fourthly, the definition of co-marketing firm and selection criteria are directed attention to. Lastly, strategies for developing co-marketing firm are suggested.
Researchers: Hwang Eui-Sik, Park Jaehong, Cho Kyung-Chool
E-mail address: eshwang@krei.re.kr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rategies for marketing innovation in agricultural producing district in Korea by investigating the introduction of co-marketing fir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marketing in agricultural producing district are examined through the related information and statistics. Secondly,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co-marketing firm is discussed. Thirdly, the case studies of overseas on change of marketing organization in foreign agricultural producing district are pursued. Fourthly, the definition of co-marketing firm and selection criteria are directed attention to. Lastly, strategies for developing co-marketing firm are suggested.
Researchers: Hwang Eui-Sik, Park Jaehong, Cho Kyung-Chool
E-mail address: eshw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3861
-
좋아요0
-
다운로드54
같은 분야 보고서
-
2024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권인혜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점검·평가
정민주2024.12.30KREI 보고서 -
초고령사회 농촌의 치매관리 실태와 개선과제
김수린2025.04.30KREI 보고서 -
제5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기본계획 수립방향 연구
김용렬2024.12.30KREI 보고서 -
2024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
최현우2024.12.30KREI 보고서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농업관측 고도화 방안 연구 - 항공촬영 및 실측조사를 중심으로
김원태2024.12.30KREI 보고서 -
글로벌 식량 공급망 분석과 과제(2년차): 밀
임혜진2024.12.30KREI 보고서 -
농식품 공급망 성과 측정과 과제
한정훈2025.01.30KREI 보고서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KREI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공동체 조직 현황과 주민 참여 실태조사 결과
이순미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한·중·일 FTA의 농업부문 파급효과 계측
- 이전글
- 한·EFTA FTA체결이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