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WTO 농업협상의 전개과정과 평가

목차
제1장 GATT와 농업
1. GATT의 출범과 한계 1
GATT 출범의 배경 1 / GATT의 불완전성과 문제점 4
2. GATT의 기본원칙 6
자유무역의 원칙 6 / 무차별의 원칙 9
3. GATT와 농업 15
GATT의 농산물 관련 규정 15 / 주요국의 GATT 의무 면제와 예외조치 27 / GATT와 농업협상 29
제2장 우루과이라운드 농업협상
1. 대두된 배경 37
세계교역질서의 재편 37 / 세계 농산물 무역구조의 변화 41
2. UR 농업협상의 추진과정 44
푼타델에스터 각료선언 44 / 중간평가회의(MTR; Mid- Term Review) 47 /
농업협상의 세부 원칙 도출을 위한 드쥬 의장 초안 59 / 브뤼셀 각료회의 85 /
던켈 초안(Final Draft Act) 91 / 블레어하우스 협정(Blair House Accord) 104 /
UR 농업 협상의 타결 110
3. UR 농업협상 주요 의제의 이론적 검토와 평가 122
관세화 122 / 농업보호의 측정 137 / 국내보조의 분류 148
농업의 비교역적 관심사항(NTC) 153
제3장 UR 농업협상 결과의 평가
1. UR 농업협상의 전반적 평가 155
2. WTO 농업협정문 156
WTO 농업협정문의 법체계와 의의 156 / WTO 농업협정문의 구성과 내용 158 /
WTO 농업협정문에 대한 평가 160
3. UR 농업협상 결과의 이행과 농정개혁 165
미국 165 / EC 181 / 일본 193
4. UR 농업협상과 한국농업 202
한국의 이행계획서 주요 내용과 평가 202 / 농업협정문 부속서 5(B)의 내용과 성격 220 /
한국의 농업정책 변화와 UR 협상 결과의 이행 228 / UR 농업협상이 한국 농업에 미친 영향 237
제4장 DDA 농업협상
1. 뉴라운드 농업협상의 준비단계 269
WTO 농업협정문 제20조 269 / 분석과 정보교환(AIE) 272
2. WTO 시애틀 각료회의 277
개요 277 / 시애틀 각료회의와 농업분야의 주요 쟁점 278 / 평가와 시사점 280
3. 2000~2001년 농업협상 283
제1단계 협상, 2000-01 283 / NTC 그룹의 협상 연대와 공동 제안 294 /
제2단계 협상, 2001-02 308
4. WTO 도하 각료회의 320
개요 320 / 도하 각료선언문의 주요 내용 321
5. 2002~2003년 농업협상 325
개요 325 / 2002-03 농업협상의 주요 논의 내용과 쟁점 328 /
세부 원칙(Modality)에 관한 하빈슨 의장 초안 335
6. WTO 칸쿤 각료회의 350
개요 350 / 미국과 EU의 공동제안서 352 / WTO 칸쿤 각료회의 359
7. 농업협상의 기본 골격 수립 370
개요 370 / 기본 골격의 주요 내용과 쟁점 373 / 기본 골격의 평가 및 시사점 380
8. 2004~2005년 농업협상 386
개요 386 / 2004-05 농업협상의 주요 논의 내용과 쟁점 388
9. DDA 농업협상의 종합 평가 401
개요 401 / DDA 농업협상의 성과와 평가 407 / NTC그룹 국가 간의 협상 연대의 평가 410
제5장 종합 및 결론 417
참고 문헌 428
요약문
At this report, the whole series of the WTO negotiation on agriculture was analyzed for the in depth understanding of basic elements and issues of the negotiation from the launch of the GATT to the current DDA negotiation on agriculture. In addition,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procedures that the agreements were reached at every stage of the negotiations were suggested.
The detailed content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launch of the GATT and its limitation, general analyses on the whole procedures of the WTO negotiation on agriculture, the background of every negoti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es on the issues and elements of the negotiatio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negotiations, and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UR negotiation on agriculture and its implications.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issues of the negotiation considered conceptually elusive to understand were fully analyzed and explained including tariffication, AMS(aggregate measurement of support), NTC(non-trade concerns) and multifunctionalities of agriculture, tariff reduc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harmonization, conversion of specific tariffs to ad valorem tariffs, trade distortion effects of domestic subsidies, and others.
At the later part of summary and conclusion of this report, several issues and problems occurring at the time of negoti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sults of the negotiation were arranged including the perception of agricultural trade liberalization, how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tion at the negotiation on agriculture, an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agricultural policies and external negotiation.
Researcher: Jaeok Lee
E-mail address: jaeoklee@krei.re.kr
At this report, the whole series of the WTO negotiation on agriculture was analyzed for the in depth understanding of basic elements and issues of the negotiation from the launch of the GATT to the current DDA negotiation on agriculture. In addition,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procedures that the agreements were reached at every stage of the negotiations were suggested.
The detailed content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launch of the GATT and its limitation, general analyses on the whole procedures of the WTO negotiation on agriculture, the background of every negoti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es on the issues and elements of the negotiatio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negotiations, and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UR negotiation on agriculture and its implications.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issues of the negotiation considered conceptually elusive to understand were fully analyzed and explained including tariffication, AMS(aggregate measurement of support), NTC(non-trade concerns) and multifunctionalities of agriculture, tariff reduc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harmonization, conversion of specific tariffs to ad valorem tariffs, trade distortion effects of domestic subsidies, and others.
At the later part of summary and conclusion of this report, several issues and problems occurring at the time of negoti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sults of the negotiation were arranged including the perception of agricultural trade liberalization, how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tion at the negotiation on agriculture, an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agricultural policies and external negotiation.
Researcher: Jaeok Lee
E-mail address: jaeokle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1848
-
좋아요0
-
다운로드135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직접지불제가 농업생산 및 구조변화에 미치는 영향
- 이전글
- 지방자치단체 농정평가체계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