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산물 물류정보 수집체계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1. 농산물 물류정보 수집체계 연구에 대한 필요성 1
2. 물류정보 수집체계 구축의 의의와 기대효과 5
3. 농산물 물류정보 수집체계 연구 사업개요 8
제2장 농산물 물류정보 현황과 수집방안
1. 농산물 물류정보 현황 10
2. 산지물류정보 15
3. 도매물류정보 18
4. 소매물류정보 22
5. 저장정보 29
6. 농산물 물류정보 확대방향 37
제3장 전국도매시장 반입량 데이터베이스(DB)화
1. 사업개요 40
2. 전국도매시장 자료관리 현황 41
3. 사업내용 43
4. 데이터베이스(DB) 구축결과 46
제4장 물류정보 가공 및 활용방안
1. 물류정보 가공 및 활용 개요 49
2. 산지물류정보 용도별 1매 제안서 50
3. 도매물류정보 용도별 1매 제안서 53
4. 소매물류정보 용도별 1매 제안서 57
5. 저장정보 용도별 1매 제안서 61
제5장 RFID를 활용한 차세대 물류정보 수집 방안
1. RFID를 활용한 농산물 물류정보인프라 구축 현황 64
2. 시스템 구축 개요 66
3. 세부 시스템 구성 67
4. 기대 효과 70
참고 문헌
부 록
1. 「전국도매시장 일일 반입량 정보화 사업」설명회 및 자문회의 회의록 71
2. 「농산물물류정보수집체계」연구를 위한 소매물류정보 시연회 및 연구진협의회 회의록 75
3. 전국도매시장반입량 및 출하지 정보시스템 과업내역서 78
4. POS자료 활용성 검토 90
요약문
농업관측을 위한 농산물 물류정보수집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정보 수집을 위한 인프라와 시스템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농업 유관기관에서 제공하는 공식적인 물류정보도 일부 도매시장 반입량정보로 한정되어 있어 물류정보에 대한 요구가 더욱 절실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주요 농산물의 저장 및 물류활동을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적용 가능한 정보기술을 검토한다. 또한 농업관측에 필요한 농산물 물류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물류정보수집체계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근거로 물류정보시스템을 2008년까지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대규모의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며, 각 물류유통의 주체들이 통합적인 사업 형태로 참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수송, 물동량의 경우 단순히 농업 유통에만 한정할 수 없고 다른 산업과 연계된 통합정보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농업물류정보 연구에서 제시한 대안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
이 연구는 1) 농산물 물류정보에 대한 정보수요 현황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2) 농업관측사업을 위한 효율적인 농산물 물류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며, 3) 장기적인 물류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RFID를 활용한 차세대 물류정보 수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물류정보는 농업관측업무를 위한 품목 담당자용 콘텐츠로서 개발하며, 이를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공콘텐츠(OLAP)와 지리정보콘텐츠(GIS)로 구현한다. 가공콘텐츠와 지리정보콘텐츠의 정확한 이해와 요구를 형상화하기 위해 1매 제안서를 품목 담당자들이 직접 제안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품목 담당자가 요구하고 사용할 콘텐츠를 제작하고 관측 품목 담당자들이 직관적인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효율적인 업무진행이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RFID를 활용한 차세대 물류정보 수집방안은 지금까지 검토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가장 농업물류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인프라의 구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정리하였다.
The Agricultural Outlook Information Center has developed information systems to collect and process data efficiently since it was founded in 1999. Especially the Agricultural Outlook Web-Survey System(DB) developed in 2004 and the Outlook & Agricultural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OASIS) developed in 2005 construct the main body of information system of the Agricultural Outlook Program.
This study is to design a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data on agricultural commodities logistics. The study aims to propose alternatives to collect data and process them in an efficient way.
The report consists in three main sections: 1) situation of Korean agricultural logistics data and its usage, 2) alternatives to collect and process data for agricultural logistics, and 3) applicability of RFID for collecting data.
Researcher: Yong-Sun Lee, Jea-Hwan Kim, Mi-Sung Park, Young-Gu Park
E-mail: ysle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3721
-
좋아요0
-
다운로드57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식량자급률 목표치 설정에 관한 연구
- 이전글
- 연차보고서 2005